Browse "Dept. of Digital Humanities and Computational Social Sciences(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by Author 박우석

Showing results 1 to 57 of 57

1
Counterfactual Reasoning in Baduk

박우석, 바둑학연구, v.1, no.1, pp.125 - 143, 2004-07

2
Counterfactual Reasoning in Baduk: A Preliminary Survey

박우석, 제1회 한국바둑학회 학술대회 , pp.89 - 109, 한국바둑학회, 2004

3
De obligationibus: 중세의 토론 논리 (II)

박우석, 제 2회 한민족 철학자 대회 , pp.11 - 30, 1995-08-17

4
De obligationibus: 중세의 토론 논리(I)

박우석, 한국서양고전학회 춘계발표회, 한국서양고전학회, 1995

5
Scotus, Frege, 그리고 Bergmann: 개체화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예비적 고찰

박우석, 철학, v.36, no.2, pp.137 - 159, 1991-12

6
The Concept of Information in Situation Semantics

박우석, '97 한국인지과학회 춘계발표회, 한국인지과학회, 1997

7
The Status of Scientiae Mediae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Biancani's Case

박우석, 논리연구, v.12, no.2, pp.141 - 170, 2009-08

8
개체화 문제: 중세인의 가슴 앓이

박우석, 철학과 현실, v.12, no.1, pp.148 - 168, 1992-03

9
공통본성의 귀환

박우석, 한국고전철학회 신년 발표회, 1992

10
과학과 권위주의

박우석, 과학사상, pp.188 - 202, 1997

11
과학적 맥락에서 개체화 문제

박우석, 서강대 철학연구소 동계 심포지움, pp.1 - 15, 서강대 철학연구소, 2010

12
논리적 귀결과 일관성에 관하여

박우석, 한국논리학회 춘계 발표회, 한국논리학회, 1996

13
논리적인 것과 논리 외적인 것

박우석, 논리연구, v.2, no.1, pp.7 - 33, 1998-12

14
데카르트의 학문 분류 -애류의 해석을 중심으로-

박우석, 범한철학, v.52, no.1, pp.121 - 148, 2009-03

15
매디의 수학적 자연주의의 존재론적 퇴보

박우석, 논리연구, v.9, no.2, pp.117 - 175, 2006-08

16
명제태도의 퍼즐들 : Zalta의 타협안

박우석, 1994년 제6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 pp.70 - 81, 1994-11-18

17
명제태도의 퍼즐들: Zalta의 타협안

박우석, 인지과학, v.6, no.1, pp.31 - 46, 1995-03

18
바둑에서의 믿음의 수정 : 예비적 논의

박우석, 바둑학연구, v.2, no.2, pp.1 - 11, 2005-12

19
베르나이스와 공리적 방법

박우석, 논리연구, v.14, no.2, pp.1 - 37, 2011-06

20
블랑카누스의 수학철학

박우석, 한국논리학회 학술대회, pp.1 - 18, 2006

21
사고실험의 논리

박우석; 김혜련, 철학, v.58, no.1, pp.305 - 329, 1999-03

22
서평: 최종덕, [부분의 합은 전체인가? -- 현대자연철학의 이해]

박우석, 한대신문, v.0, pp.0 - 0, 1995

23
수아레즈, 분수령인가 연결고리인가?

박우석, 2012년도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정기 학술심포지엄,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04-27

24
스코투스 인과론의 공리체계

박우석, 한국중세철학회 학술대회, pp.34 - 53, 한국중세철학회, 2004

25
스코투스 인과론의 공리체계

박우석, 기독교철학연구, v.10, pp.105 - 139, 2008-12

26
스코투스 인지이론의 몇 가지 쟁점들

박우석, 한국중세철학회 학술대회, 한국중세철학회, 2010

27
스코투스의 개체화 이론

박우석, 철학과 현실, v.21, no.2, pp.149 - 171, 1994-06

28
스코투스적 양상 형이상학의 모색

박우석, 철학, v.54, no.4, pp.83 - 93, 1998-12

29
스토아학파의 언어철학

박우석, 한국서양고전학회 학술대회, 한국서양고전학회, 1998

30
스토아학파의 언어철학

박우석, 서양고전학연구, v.13, no.1, pp.55 - 72, 1999-12

31
시각의 언어 : 몇가지 사례들

박우석, 한국인지과학회 춘계 학술대회, pp.216 - 220, 한국인지과학회, 1998-06-15

32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의 목표

박우석, 연세철학연구회 월례발표회, 1991

33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의 목표

박우석, 철학연구, v.30, no.1, pp.259 - 285, 1992-06

34
아퀴나스에서 물질적 단일자에 대한 인식의 문제

박우석, 가톨릭철학, no.14, pp.139 - 159, 2010-04

35
오캄의 논리학과 존재론 : 첫인상

박우석, 철학과현실, v.27, no.4, pp.152 - 171, 1995-12

36
전문용어 연구와 존재론

박우석, 전문용어언어공학 심포지엄, 2000

37
정의에 관한 프레게의 견해

박우석, 연세대학교 서산철학강좌, pp.1 - 9, 2006

38
제 2차 논리학의 완전성과 불완전성

박우석; 김영정, 철학, v.37, no.1, pp.207 - 233, 1992-06

39
제르멜로와 공리적 방법

박우석, 논리연구, v.11, no.2, pp.1 - 57, 2008-08

40
중세 거짓말쟁이 역설 논의에서 오류론의 역할

박우석, 한국논리학회 학술대회, pp.1 - 10, 한국논리학회, 2010

41
중세 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인과론 : 첫인상

박우석, 한국분석철학회 동계세미나, 한국분석철학회, 1995

42
중세 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인과론 : 첫인상

박우석, 인과와 인과 이론: 한국분석철학회논문집, v.6, no.1, pp.11 - 37, 1996-12

43
중세말기 유명론과 영국철학의 전통

박우석, 한국철학회 학술대회, pp.167 - 187, 한국철학회, 1998

44
중세철학 : 함께 하는 철학의 방법

박우석, 철학연구회 93년도 춘계발표회, 1993

45
중세철학에서 무한의 문제: 예비적 고찰

박우석, 철학탐구, v.26, pp.63 - 85, 2009-11

46
중세철학의 수용과 한국철학의 정립

박우석, 97 철학연구회 춘계발표회, 1997

47
지식 공학의 형식 존재론

박우석, 과학철학, v.5, no.1, pp.111 - 133, 2002-03

48
철학이라는 이상한 나라로 가는 길 : 「과학의 한계」, C. F. v. 바이츠제커 著 ; 송병옥 譯 <書評>

박우석, 서평문화, pp.137 - 143, 1996-12

49
타르스키의 논리적 귀결 정의의 역사적 배경

박우석, 논리연구, v.17, no.1, pp.33 - 69, 2014-02

50
프레게의 포섭/종속 구별

박우석, 한국분석철학회 월례발표회, 한국분석철학회, 1991

51
프레게의 포섭/종속 구별

박우석, 연세철학, v.4, no.1, pp.53 - 80, 1992-12

52
학문 진보에 있어서 도서관의 역할: 회고와 전망

박우석, KESLI 전자정보포럼, pp.1 - 12, 2005

53
한국어에 내재된 퍼어스적 시제 논리학

박우석, 한국인지과학회 춘계 학술대회, pp.26 - 30, 한국인지과학회, 1998-06-15

54
허구론적 수리철학의 허구적 메타논리학

박우석, 철학, v.40, no.3, pp.357 - 398, 1993-09

55
현대 수리철학의 백가쟁명

박우석, 과학과 철학, v.5, no.1, pp.327 - 340, 1994-12

56
현대 학문 체계에서 철학의 위치

박우석, 동서철학연구, no.59, pp.5 - 36, 2011-03

57
현대 학문체계에서 철학의 위치

박우석, 동서철학연구, v.59, pp.5 - 36, 2001-03

Discover

Type

Open Access

Date issued

. next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