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College of Liberal Arts and Convergence Science(인문사회융합과학대학)" by Author 시정곤

Showing results 1 to 60 of 137

1
A study on the effect of visualization in computer-assisted music education for education of musical dynamics = 컴퓨터를 활용한 음악 교육에서 시각화 방법이 셈여림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link

Park, Eun-Ji; 박은지;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4

2
(A) design of a cross-media 3.0 production model with a bridged narrative. = 연결형 내러티브 구조를 가진 크로스미디어 3.0 제작모델 디자인link

Ha, Si-Nae; 하시내;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1

3
An empirical study on enhancing presence in telecommunication environment: with a focus on augmented reality = 원거리 의사소통 환경에서의 현존감 강화 방안 연구: 증강현실 기술을 중심으로link

Kim, Jea-In; 김재인; Shi, Chung-Kon; 시정곤;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4

4
(An) exploratory study of the value of online reviews as cultural metadata in movie organization and filtering = 영화 분류 및 필터링을 위한 문화적 메타데이터로서의 온라인 리뷰에 관한 연구link

Ahn, Shin-Hyun; 안신현;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1

5
Application and Possibility of Exhibition Engineering based on Storytelling

시정곤; 전봉관, HCI Korea 2013, HCI Korea, 2013-02-01

6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ing of suspenseful narrative experience: The effect of uncertainty and repeated exposurelink

Chun, Chang Ui; Shi, Chungkon; 시정곤; Park, Byungho; et al, 2021

7
Communication factor analysis of pediatric dental patients for developing health communication system = 의료커뮤니케이션 시스템 개발을 위한 소아치과환자의 커뮤니케이션 요소 분석link

Chung, Ho-Chung; Shi, Chung-K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8

8
Crowd-sourced information and its application on cultural collections = 문화예술기관의 크라우드소싱 정보 활용에 관한 연구link

Chae, Gunho; 채건호;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5

9
Disruptive activities of interactive artwork = 인터랙티브 아트웍에서의 관객의 전복적 행동 연구link

Oh, Je-ho; Shi, Chung-k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22

10
Generative spatial montage with multi-layered screens: a new non-linear cinema and media art = 제너레이티브 공간 몽타주와 멀티레이어 스크린: 새로운 비선형적 시네마와 미디어아트link

Bahng, Sojung; 방소정; Shi, Chung Kon; 시정곤;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5

11
Identity play : self-presentation and transformations in MMORPG = 아이덴티티 플레이 : MMORPG 아바타 커스터마이징에서 자기 표현과 변형link

Paik, Paul Chul-ho; 백철호;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2

12
Individual and gender difference of the cognitive style in modulating the cognitive conflict on information processing = 정보처리에서 인지갈등 조절에 미치는 인지양식의 개인 및 성별 차이link

Chung, Chongwook; Shi, Chung-K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9

13
KAIST 한국어 어휘의미망의 구조와 특성

시정곤, 제2회 코퍼스언어학 연구발표회, pp.71 - 83, 2004-02

14
Middle-aged and older adults’digital game experience and perception change: connecting generations through game playlink

Lee, Seyeon; Shi, Chung-Kon; 시정곤; Doh, Young Yim; et al, 2021

15
Smart Icebreaker: 새로운 그룹 구성원 간의 대인매력을 강화시켜주는 게임 인터랙션 연구 = Smart icebreaker: Game interaction for enhancing interpersonal attraction among members of a new grouplink

문지원; Moon, Ji-W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4

16
Social eBook을 활용한 소셜리딩의 독서효과 연구 : 인문고전 분야 독서를 중심으로 = Reader experience in social reading using social eBook : focus on the genre of classical humanitieslink

이세연; Lee, Se-Ye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3

17
Social Media에서 News Type에 따른 정보 제공자 선택 경향의 차이 = Difference on information source preference by news type in social medialink

김태오; Kim, Tae-O;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3

18
(The) framework of systematic creation process and methods for designing novel conceptual character's appearance = 새로운 개념 캐릭터 외형 디자인을 위한 체계적인 창작 과정과 방법에 대한 프레임워크link

Yi, Ji Hyun; 이지현;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6

19
TV광고의 서사구조 분석 = Narrative structural analysis of commercial filmslink

김민정; Kim, Min-Jeong;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7

20
X+음의 정체는 무엇인가?

시정곤, 형태론, v.1, no.1, pp.133 - 142, 1999-03

21
X를 하다와 X하다의 상관성

시정곤, 國語學(국어학), v.24, no.0, pp.231 - 258, 1994-12

22
계량적 방법을 이용한 트위터 언어의 특징 연구 - 구어와 문어의 언어 양상을 중심으로

시정곤, 한국어문교육, no.31, pp.111 - 142, 2020-05

23
공공 인터랙티브 예술 작품 “deBallution” 제작을 위한 기초 프로토타입 디자인 연구

오제호; 시정곤, HCI2016, pp.36 - 38, 한국HCI학회, 2016-01-27

24
공형태소 설정은 타당한가?

시정곤, 제133차 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pp.48 - 54, 2000-05

25
공형태소를 다시 생각함

시정곤, 한국어학, v.12, no.0, pp.147 - 165, 2000-12

26
공형태소와 형태 분석에 대하여

시정곤, 國語學(국어학), no.57, pp.3 - 30, 2010-04

27
관심 객체의 위치 정보 가시화를 위한 증강현실 뷰어 설계

김재인; 우운택; 시정곤, HCIK2015 학술대회, HCIK, 2014-12-12

28
국어 관형구성의 형태·통사적 양면성

시정곤, 어문논집, v.30, no.0, pp.351 - 362, 1991-12

29
국어 논항구조의 성격에 대하여

시정곤, 한국어문교육, v.6, no.0, pp.77 - 100, 1992-12

30
국어 명사의 문법화 과정에 나타난 특이 유형에 대하여

시정곤, 언어연구, v.26, no.1, pp.105 - 127, 2010-05

31
국어 수량사구의 통사구조

시정곤, 언어, v.25, no.1, pp.73 - 101, 2000-03

32
국어 형태론에서 단어형성 전용요소의 설정에 대한 타당성 연구

시정곤, 한국어학, v.38, pp.83 - 107, 2008-02

33
국어 형태론에서의 ‘생산성’ 문제에 대한 연구

시정곤, 형태론, v.8, no.2, pp.257 - 276, 2006-09

34
국어사전에서의 전문용어 분류에 대한 연구

김미령; 시정곤, 제3회 전문용어언어공학 심포지엄, pp.67 - 77, 전문용어언어공학연구센터, 2000-12

35
국어의 단어형성 원리

시정곤, 한글, v.223, no.0, pp.49 - 79, 1994-04

36
국어의 단어형성에 대하여

시정곤, 한글학회 '94 정기총회기념 연구발표회, pp.8 - 25, 한글학회, 1994-03-26

37
국어의 부정극어 허가조건

시정곤, 언어, v.22, no.3, pp.471 - 497, 1997-09

38
국어의 부정극어에 대하여

시정곤, 제96차 국어국문학회 전국대회, pp.1 - 10, 국어국문학회, 1996-04

39
국어의 부정극어에 대한 연구

시정곤, 국어국문학, v.119, no.0, pp.49 - 78, 1997-05

40
국어의 부정어와 어휘분해

시정곤, 한국어학, v.7, no.0, pp.193 - 226, 1998-06

41
국어의 어휘부 사전에 대한 연구

시정곤, 언어연구, v.17, no.1, pp.163 - 184, 2001-06

42
국어의 형태분석 기준에 대하여

시정곤, 한국어학회 중부지회 봄 발표회, pp.1 - 10, 한국어학회, 2004-04

43
국어학과 인지과학

시정곤, 안암어문학회 97정기학술대회, pp.1 - 13, 안암어문학회, 1997-11-29

44
국어학과 인지과학

시정곤, 어문논집, v.37, no.0, pp.359 - 383, 1998-02

45
규칙은 과연 필요 없는가?

시정곤, 형태론, v.1, no.2, pp.261 - 283, 1999-09

46
김창섭(1996) 다시 읽기

시정곤, 형태론, v.2, no.2, pp.365 - 382, 2000-09

47
내러티브 특성에 근거한 테마뮤지엄 디자인 연구: 내러티브 구조 확립을 중심으로

시정곤; 최고운; 김명석, HCI 2006, pp.602 - 607, 한국HCI학회, 2006-02-15

48
노년층의 정신건강을 위한 온라인 소셜 회고록 디자인 연구

이세연; 시정곤; 도영임, 2018 한국발달심리학회 학술대회, 한국발달심리학회, 2018-11-10

49
단어결합과 의미역 위계구조

시정곤, 언어연구, v.19, no.2, pp.271 - 287, 2003-10

50
동영상 콘텐츠에 의해 유발된 각성수준과 동기활성화체계의 개인차가 제품배치에의 응시시간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rousal caused by video content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appetitive system activation on fixation duration and memory for product placementlink

오효선; Oh, Hyo-Su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1

51
등재소 설정 기준에 대한 연구

시정곤, 한국어학, no.22, pp.185 - 214, 2004-02

52
디자인 의미에 대한 문화적 영향의 기호학적 분석 - 한국과 프랑스 20대 사용자의 모바일 폰 디자인 선호를 중심으로

윤지혜; 이건표; 시정곤, HCI 2006, pp.256 - 266, 한국HCI학회, 2006-02-13

53
디지털 네트워크와 사이버 언어의 미래

시정곤, 한국학연구, v.20, no.0, pp.45 - 72, 2004-06

54
말 다듬기와 조어법

시정곤, 새국어생활, v.15, no.2, pp.135 - 143, 2005-06

55
명사 연결체의 띄어쓰기 실상과 처리 방향

시정곤, 새국어생활, v.12, no.1, pp.33 - 48, 2002-03

56
명사성 불구어근의 형태, 통사론적 연구

시정곤, 한국어학, v.14, no.0, pp.205 - 234, 2001-12

57
모바일 게임 환경에서 효과적인 서사 전달 방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 narrative mode in the mobile gaming environmentlink

조형재; Cho, Hyung-Jae;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2

58
목적어 있는 피동문

시정곤, 주시경학보, v.7, pp.149 - 156, 1991-04

59
문화적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영화 추천 시스템 연구

안신현; 시정곤,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pp.1 - 8, 한국정보과학회, 2008-06-30

60
밖에의 형태-통사론

시정곤, 國語學(국어학), v.30, pp.171 - 200, 1997-12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