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혁신성향이 관광지 특화상품 구매에 미치는 효과 연구 : 모바일 앱 사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The) influence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the purchase of specialized tourism products : moderating effect of mobile consumer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379
  • Download : 0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 시대에서는 시장의 변화를 읽고 복잡한 소비자의 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역량이 곧 기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는 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은 계속해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 내고 있으며, 이러한 신제품을 소비자가 효과적으로 수용하도록 이끄는 역량이 기업에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혁신성과 쾌락소비를 중심으로 관광지에 특화된 신제품 소비를 유도할 수 있는 요소를 파악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소비자 혁신성을 인지적 혁신성향과 감각적 혁신성향으로 구분하였고, 어떠한 요소가 관광지에 특화된 신제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및 전 세계에 대표적인 커피 브랜드인 스타벅스 커피로 제품을 한정하여 총 348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관광지 특화 신제품은 국내에서 대표적인 관광상권인 제주도의 지역 특화상품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스타벅스 커피의 브랜드 앱(Branded App.) 사용 여부가 지역 특화상품의 구매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인지적 혁신성향과 감각적 혁신성향이 높은 사람은 쾌락소비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으며, 이는 제주 지역 특산 제품 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효과는 스타벅스의 브랜드 앱 사용 여부에 따라 효과가 달라졌다. 앱을 사용하는 집단의 경우 인지적 혁신성향이 쾌락소비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고 감각적 혁신성향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에 앱을 사용하지 않는 집단은 감각적 혁신성향이 쾌락소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인지적 혁신성향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관광지 특화상품에 대한 구매를 유도하는 차원에서 기업의 성과 향상을 위해 어떠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마케팅 활동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전략적인 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지역 특화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택 과정 및 그 의미에 대한 기초 연구로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Advisors
박병호researcherPark, Byung Ho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정보경영프로그램,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8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정보경영프로그램, 2018.8,[ⅲ, 28 p. :]

Keywords

소비자 혁신성▼a인지적 혁신성향▼a감각적 혁신성향▼a쾌락소비▼a관광지역 특화상품 수용; Consumer Innovativeness▼acognitive innovativeness▼asensory innovativeness▼ahedonic consumption▼arespond to specialized tourism products

URI
http://hdl.handle.net/10203/267132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828631&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M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