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예술 감상에서 작품의 맥락이 감상자의 인지 방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The difference of cognitive-affective state depending on the influence of contextual framing for artwork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167
  • Download : 0
본 연구는 예술 작품 감상 시의 맥락 프레이밍이 감상자의 감상 경험 및 인지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 맥락 프레이밍이란, 메시지를 담아 편성된 자극들로 인해 형성된 맥락의 틀을 의미하며 관찰자가 실험 자극을 이해하는 데 있어 이를 용이하게 해주는 해석적 스키마이다. 본 연구에서는 예술 사진 작품을 실험 자극으로 하여 동일 작품이 각기 다른 맥락으로 구성됐을 때, 관람객이 느끼는 정서와 작품 선호도의 변화를 알아보고 감상자의 인지 탐색 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선택적 주의 집중을 통해 능동적으로 감상을 해 나가는 감상자의 시각 정보 처리 과정을 안구 움직임을 추적하여 부분적으로 밝히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행동 실험과 함께 측정된 안구 운동 추적 결과, 맥락에 따라 작품에 대한 참가자들의 선택적 주의 집중이 다름이 확인됐다. 참가자들은 동일 작품이라 하더라도 긍정적 맥락에서는 긍정적 단서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주의를 기울였으며 부정적 맥락에서는 부정적 단서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였다. 특히 부정적 맥락에서는 긍정적 맥락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작품에서 부정적 단서에 대한 주시 시간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부정적 단서에 대한 고정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작품을 보는 주시 시간과 정서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긍정적 맥락 단서를 주시한 시간과 긍정적 정서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dvisors
정재승researcherJeong, Jae-Seung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0
Identifier
418953/325007  / 020083396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2010.2, [ iv, 59 p. ]

Keywords

아이트래킹; 맥락 프레이밍; 시각예술; appreciation; eye tracking; contextual framing

URI
http://hdl.handle.net/10203/35105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418953&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C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