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사회과학 연구과정의 블랙박스 열기: 아카데믹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비교사회학 연구를 중심으로Opening the Blackbox of Computational Social Science Research Process: A Case of Comparative Study of Social Science Academia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9
  • Download : 0
데이터과학에 기반한 지식사회학 연구는 어떤 과정으로 수행되는가? 이러한 접근의 강점은 무엇이며, 연구 과정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사안들은 어떤 것이 있는가? 데이터과학과 사회과학을 융합하는 시도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실제로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회과학 연구자들이 실질적으로 마주하게 될 어려움들을 소개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 노트는 저자들이 수행하고 있는 사회과학 지식장에 대한 비교사회학 연구를 사례로 하여 전산사회과학의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과정에서의 암묵지를 드러내고, 이와 관련된 방법론적 시사점을 강조한다. 저자들의 지식사회학 연구는 KCI와 SSCI의 사회과학 논문들을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수집하고 정제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한국연구재단 데이터베이스와 OpenAlex 데이터베이스를 동일한 차원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전처리하는 과정 또한 필요했다. 한국과 국제 사회과학 학문장의 거시적, 미시적 관계성을 알아내기 위해 우리는 BERTopic과 STM을 모두 시도하며 더 설득력 있는 결과물을 얻어내기 위한 시행착오를 거쳤다. 이 과정에서 사전 훈련된 말뭉치의 선정, 토픽의 개수 지정, 토픽 뭉치의 의미 해석 등 방법론에 대한 연구자들의 선택과 반복이 필수적이었다. 즉, 전산사회과학의 사회학적인 응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코딩 테크닉 자체에 대한 고민뿐 아니라, 데이터, 분석 도구, 조작화 전략, 연구질문, 주장의 신뢰성과 한계에 대한 고찰 등 사회학자들이 오랫동안 천착해 온 방법론적인 질문들이 여전히 가장 중요한 것이다.
Publisher
한국사회학회
Issue Date
2023-05
Language
Korean
Citation

한국사회학, v.57, no.2, pp.131 - 157

ISSN
1225-0120
URI
http://hdl.handle.net/10203/315176
Appears in Collection
HSS-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