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행동주의의 진화와 SRI(sustainable & responsible investment)The Evolution of Shareholder Activism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SRI (Sustainable & Responsible Investment)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84
  • Download : 0
주주행동주의는 주주들이 소유권을 바탕으로 경영자를 적극 통제하여 대리인 문제를 완화하고 인도자(steward) 역할도 수행해야 한다는 이념이다. 사회운동가를 포함한 일부 소액주주의 주도로 전개되기 시작한 주주행동주의는 1990년대 이후 기관투자자 행동주의로 발전했다. 구미 에서는 CaIPERS, Hermes 등 대형 기관들이 막대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주주권을 행사, 주주행동의 현실적 영향력이 제고됐다. 국내 기관들도 외환 위기를 계기로 생존을 위한 위험 관리 차원에서 점점 적극적으로 기업지배구조 감시와 주주권 행사에 나서고 있다. 최근의 주주행동주의는 SRI(sustainable & responsible investment: 사회책임투자) 개념과 밀접하게 연계됨으로써, 주주로서의 경제적 이익 추구에 함몰되지 않고 인류 사회의 공통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기업 활동을 유도한다는 명분을 확보해나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기업 경영에 부담 요인인 동시에 기회 요인이 된다. 즉, 명확한 추구가치를 보유한 기업이라면 자본시장, 나아가 전체 사회로부터 존속의 정당성을 원활히 확보하여 장기 번영의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이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Issue Date
2005-05
Language
Korean
Citation

경영논총, v.23, no.1, pp.63 - 81

ISSN
1226-4377
URI
http://hdl.handle.net/10203/91988
Appears in Collection
MT-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