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포화 폴리에스터/폴리우레탄 IPN 구조를 가진 복합재료의 기계적 성질과 저수축 특성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834
  • Download : 893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여운길ko
dc.contributor.author김성철ko
dc.contributor.authorYeo, Un Gilko
dc.contributor.authorKim, Sung Chulko
dc.date.accessioned2008-12-04T08:51:53Z-
dc.date.available2008-12-04T08:51:53Z-
dc.date.created2012-02-06-
dc.date.created2012-02-06-
dc.date.issued1990-06-
dc.identifier.citation유변학, v.2, no.1, pp.79 - 86-
dc.identifier.issn1226-119X-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7970-
dc.description.abstract상업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섬유강화 복합재로에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수축성을 보완시킬 목적으로 폴리우레탄을 첨가하여 IPN(Interpenetration Polymer Network) 구조를 갖는 matrix를 제조하였다. 폴리우레탄의 조성과 가교밀도를 변화시키면서 DMA(Dynamic Mechanical Analysis)실험과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폴리우레탄의 조성이 증가할수록 가교밀도가 낮을수록 상분리가 일어나 폴리우레탄 domain이 형성되며 내충격성이 향상되었다. 가교간 분자량이 (Mc)2840이고 폴리우레탄 함량이 20wt%일 때가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최적 조건으로 관찰되었다. 이때 인장강도는 13% 감소를 보인 반면에 내충격성은 22%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PTMG(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계 폴리우레탄이 PPG(Polypropylene glycol)계 폴리우레탄보다 내충격성이 높았다. 또한 성형품이 표면상태가 특별한 Low-profile 첨가제 없이도 매끈한 면으로 향상되었다.-
dc.languageKorean-
dc.language.isokoen
dc.publisher한국유변학회-
dc.title불포화 폴리에스터/폴리우레탄 IPN 구조를 가진 복합재료의 기계적 성질과 저수축 특성-
dc.typeArticle-
dc.identifier.alternativecitation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Vol.2, No.1, 1990, pp.79-86en
dc.publisher.alternativeThe Korean Society of Rheologyen
dc.subject.alternativeunsaturated polyesteren
dc.subject.alternativepolyurethaneen
dc.type.rimsART-
dc.citation.volume2-
dc.citation.issue1-
dc.citation.beginningpage79-
dc.citation.endingpage86-
dc.citation.publicationname유변학-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dc.contributor.localauthor김성철-
dc.contributor.nonIdAuthor여운길-
dc.contributor.nonIdAuthorYeo, Un Gil-
dc.contributor.nonIdAuthorKim, Sung Chul-
Appears in Collection
CBE-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