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지성분이 고정화 곰팡이 세포를 이용한 Cyclosporin A 생산에 미치는 영향Effect of Medium Components on the Production of Cyclosporin A by Immobilized Fungal Cell, Tolypocladium inflatum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613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태호ko
dc.contributor.author장용근ko
dc.contributor.author전계택ko
dc.date.accessioned2013-03-03T04:01:14Z-
dc.date.available2013-03-03T04:01:14Z-
dc.date.created2012-02-06-
dc.date.created2012-02-06-
dc.date.issued1996-01-
dc.identifier.citationKSBB JOURNAL, v.11, no.5, pp.613 - 621-
dc.identifier.issn1225-7117-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77121-
dc.description.abstractWild-type 곰팡이인 Tolypoc/adium inflatum의 고정상배양을 통해 탄소원, 질소원, 아미노산 등이 peptide 항생제 계통 의 면역억제제인 cyclosporin A(CyA)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질소 원으로서 ammonium sulfate가 첨가된 경우에, f fructose 또는maltose 등을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배 지가 glucose가 첨가된 배지에 비해 월등히 높은 C CyA 생산성을 보였으나. ammonium sulfate의 부 재시에는 탄소원들의 종류에 관계없이 CyA 생산성 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질소원의 경우는 무기 질소 원인 ammonium sulfate가 CyA 생산에 가장 훌륭 한 성분으로 작용했으며, 그밖에 ammonium phos p phate, ammonium citrate 역시 CyA 생산을 어느 정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최척 ammonIum s sulfate의 농도는 109/L로 밝혀 졌으며 배양초기 에 a ammonium sulfate릎 첨가해 주는 경우가 배양중간 에 첨가하는 경우보다 CyA 생산에 더 효율적인 것 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의 경우 L-valine에 의한 C CyA 생합성 증진 효과가 가장 투렷하게 나타났다. 최적 L-valine 농도는 109/L이였으며 L-valine이 배양 초반부터 배지 중에 존재하는 것이 CyA 생합 성에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한국생물공학회-
dc.title배지성분이 고정화 곰팡이 세포를 이용한 Cyclosporin A 생산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Effect of Medium Components on the Production of Cyclosporin A by Immobilized Fungal Cell, Tolypocladium inflatum-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citation.volume11-
dc.citation.issue5-
dc.citation.beginningpage613-
dc.citation.endingpage621-
dc.citation.publicationnameKSBB JOURNAL-
dc.contributor.localauthor장용근-
dc.contributor.nonIdAuthor이태호-
dc.contributor.nonIdAuthor전계택-
Appears in Collection
CBE-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