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 탈황공정에 의한 해성점토의 개량Improvement of a Marine Clay by a Microbial Desulfurization Proces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69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류희욱ko
dc.contributor.author장용근ko
dc.contributor.author김상돈ko
dc.contributor.author조경숙ko
dc.contributor.author임충양ko
dc.date.accessioned2013-02-27T06:33:33Z-
dc.date.available2013-02-27T06:33:33Z-
dc.date.created2012-02-06-
dc.date.created2012-02-06-
dc.date.issued1994-04-
dc.identifier.citation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K), v.32, no.2, pp.179 - 186-
dc.identifier.issn0304-128X-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67020-
dc.description.abstract해성점토로부터 세라믹 재료생산에 적합한 점토를 얻기 위하여, 황 산화 박테리아인 Thiobacillus ferrooxidans를 해성점토중의 pyrite(FeS2) 제거에 사용하였다. 이러한 미생물 탈황에 의해 pyrite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 해성 점토로부터 양질의 점토를 얻을 수 있었다. 점토의 탈황속도와 제거율에 대한 여러 공정변수들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속도는 좀 느렸지만 T.ferrooxidans의 접종 없이도 점토내의 자생균에 의해서도 75%정도의 pyrite를 제거 할 수 있었다. T.ferrooxidans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영양분의 상당 부분을 점토에 함유되어 있는 염들로부터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배양액의 pH와 산화된 pyrite양과의 관계는 pH=A-K log[FeS2]로 표현되었다. 비교적 낮은 값으로부터 70%(w/v)까지 이르는 점토 slurry 농도에서 7-12일 동안에 80-90%의 pyrite 를 제거할 수 있었다. T.ferrooxidans에 의한 pyrite산화속도는 slurry농도에 따라 506-1,714mg -FeS2/L.day의 값을 보였고, pyrite의 농도에 대해 1차식(ΥC=8.424SC)으로 표현될 수 있었다. 해성점토를 개량하기 위한 다단 생물반응기를 사용하는 연속 미생물 탈활공정을 제안하였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한국화학공학회-
dc.title미생물 탈황공정에 의한 해성점토의 개량-
dc.title.alternativeImprovement of a Marine Clay by a Microbial Desulfurization Process-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citation.volume32-
dc.citation.issue2-
dc.citation.beginningpage179-
dc.citation.endingpage186-
dc.citation.publicationname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K)-
dc.contributor.localauthor장용근-
dc.contributor.localauthor김상돈-
dc.contributor.nonIdAuthor류희욱-
dc.contributor.nonIdAuthor조경숙-
dc.contributor.nonIdAuthor임충양-
Appears in Collection
CBE-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