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디스플레이에서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한 인간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From ambient to interactive: human-digital art interaction on public display based on the spatial relationship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51
  • Download : 0
공공디스플레이는 그 동안 상호작용이 없는 일방향적인 개념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미디어의 전환이 일어나는 매체로 변해가고 있다. 쌍방향적인 공공디스플레이를 보는 관점 또한 여러 가지인데, 크게 HCI적인 측면에서 인간과 디지털 디스플레이의 상호작용이라는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다. 특히 넓은 의미로서의 HCI로 공공디스플레이에서 인간과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예술의 상호작용을 인식하고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는 공공디스플레이에서 더욱 풍부한 미디어 경험을 제공하고자, 보는 거리에 따라 다른 상호작용, 그리고 보는 주체의 방향에 따라 다른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랙션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인터랙션 모델이 미디어 아트에 적용되는 사례를 실험 작품 제작을 통해 테스트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향상된 인터랙션 모델 제안을 위해 HCI 분야에서 두 가지 방법론을 도입하였다. 먼저 상황 분석적 접근(Context Analytic Approach)으로 공공디스플레이에서 거리에 의존한(Distance-dependent) 다단계 인터랙션 모델들을 검토하고 인간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랙션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 다음에는 사용자 분석적 접근(User Analytic Approach)의 측면에서 HCI 분야의 아우라(Aura) 개념을 도입하여 보는 주체의 방향(Direction)에 의존한 상호작용이라는 목적성을 가지고 재정의하였다. 세 번째로는 이를 토대로 궁극적인 연구 목표를 위해 공공디스플레이에서 인간과 디지털 아트 간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종 인터랙션 모델(Interaction Model)을 제시하였다.
Advisors
원광연researcherWohn, Kwang-Yeonresearcher이승연researcher김정화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8
Identifier
301906/325007  / 020064074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2008. 8., [ iv, 61 p. ]

Keywords

public display; Human-Digital Art Interaction; Multilevel Interaction Model; Aura; 공공디스플레이; 인간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 다단계 인터랙션 모델; 아우라; public display; Human-Digital Art Interaction; Multilevel Interaction Model; Aura; 공공디스플레이; 인간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 다단계 인터랙션 모델; 아우라

URI
http://hdl.handle.net/10203/35071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301906&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C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