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원형으로서 불의 속성 분석 및 그 활용 : 한국의 불 문화원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Analysis about fire’s attribution as a cultural archetype and its applic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89
  • Download : 0
본 연구에서는 문화원형으로서의 불의 속성을 분석하기 위해, 인류가 불에 대해 갖는 공통적인 원형을 발견함과 동시에 한국이라는 지역적 한계를 설정하여 한국인들이 불에 대해 갖는 사고의 문화원형을 알아보고 유형별로 이를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불 문화원형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 불의 문화원형을 종합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불의 성격은 크게 상승의 불, 하강의 불, 순환과 재생의 불의 세 가지로 나누었으며, 상승의 불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상승의 불은 세 가지로 다시 나뉘는데, 창조와 우주의 구성 원리로서의 불은 불이 빛과 열을 통해 인간에게 물질적이며 정신적인 세계를 열어준 것을 가리킨다. 진리와 지혜로서의 불은 인간이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불이 도기 제작, 금속의 제련, 제의의 시행, 경제활동과 연금술, 과학기술의 발전 등 다각도로 기여하였음을 보여주었다. 기원과 소망으로서의 불은 정화와 벽사의 기능과 이를 통한 풍요와 번영의 기원이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불이 제의적 개념에서 인간 생활에 공존하는 개념으로 의미가 확장되었음을 보여준다. 하강의 불은 주로 죽음과 파괴, 처벌, 성적 충동 등의 상징으로 주로 나타나며, 순환과 재생의 불은 소멸과 창조 사이에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주기적인 운동성으로 드러나서 불멸의 개념으로까지 연결된다. 앞의 분석을 바탕으로, 현대 한국사회에서 불의 문화원형적 성격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문화의 본질적 요소를 많이 담고 있는 축제를 살펴보았다. 진주남강유등축제, 제주 정월대보름 들불축제와 스페인 라스 파야스 축제를 비교하여 축제 프로그램에 활용된 불의 양상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가늠해보았다.
Advisors
우성주Woo, Sung-Ju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1
Identifier
467627/325007  / 020093276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2011.2, [ vi, 86 p. ]

Keywords

한국의 문화원형; 상승의 불; 불축제; Fire; Cultural Archetype; Korean Cultural Archetype; Ascending Fire; Fire Festival; 불; 문화원형

URI
http://hdl.handle.net/10203/35016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467627&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C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