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전기 생물학적복원에 의한 석유계 탄화수소 오염토양의 정화Electrokinetic bioremediation of soil contaminated with petroleum hydrocarbon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88
  • Download : 0
본 연구에서는 석유계 유류오염토양을 대상으로 현장실용성이 있는 동전기 생물학적복원 기술을 개발하고 실험실 규모의 반응기를 제작하여 인공오염토양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였다. 처리기간, 전력소비, 제거효율로 나타나는 공정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류밀도, 전해질 순환, 함수율, 전자수용체 등의 조건을 다르게 하여 동전기 생물학적복원에 대한 결과를 이해하고 현장적용을 고려한 필요사항을 도출하였다. 1. 미생물활성과 오염물제거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전해질 순환법을 도입하였다. ① 전해질 강제순환법을 도입한 공정계 (S3와 S4) 에서는 토양내 지속적인 영양원 및 미생물을 공급하고 중성영역의 pH를 유지시킬 수 있었다. ② 전해액 순환을 통해 미생물과 전해액의 추가 공급과 전해액의 2차처리가 불필요하였다. ③ 동전기 생물학적복원에서 전기영동 뿐만 아니라 전기삼투 또한 미생물의 토양내 주요이동수단이 되었다. 2. 동전기 생물학적복원은 저투수토양에서 추출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오염지대의 확대없이 유류오염물의 빠른 제거가 가능하였다. ① 200 mg/kg phenanthrene-오염토양에 대해서 1주만에 최대 137 mg/kg을 제거하였다. ② 5000 mg/kg pentadecane-오염토양에 대해서 3주만에 840 mg/kg가 제거하였다. ③ 생물반응기에서는 공정기간내내 미생물활성을 유지시킬 수 있었으며 오염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④ 동전기에 의해 매우 가속화된 제거속도는 기존 생물학적복원의 느린제거속도와 장기간처리와 같은 내재적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이 되었다. 3. 대상토양의 오염특성에 따라 제거결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① Phenanthrene-오염토양 정화에 사용한 Sphingomonas sp. 3Y는 산소농도가 충분치 않으면 제거율이 매우 낮아진다. 동전기 생물학적복원에서 전류밀도의 증가에 따라 산소발생이 많아지고 제거율이 상승되었다. ② Pentadecane-오염토양의 정화에 사용한 복합미생물(bacterial consortium)은 다양한 대사특성을 가짐으로써 최적 전류밀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③ 오염물농도가 높아질수록 토양과 약한 결합을 하는 비율이 높아지므로 제거량이 상승되나 이온의 이동을 방해하여 전력소비가 증가하였다. 4. 공정변수의 조절을 통해 현장적용을 고려한 필요사항을 도출하였다. ① 전해질 강제순환법은 전류밀도의 상승에 따라 전력이 제곱배로 증가하므로 복원목표와 소요비용 사이에 의사결정과정이 필요하였다. ② 전해질 종류와 그에 따른 전기화학반응은 미생물활성의 유지에 중요하였다. 인산염의 경우 토양의 완충능을 증가시켜 pH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였다. ③ Mg과 같이 수산화이온과 결합하여 침전물 ($Mg(OH)_2$) 을 형성하는 이온은 공정계내 pH를 매우 감소시켜 미생물활성을 소멸시키므로 대체성분 (예, $Na_2SO_4$) 을 이용해야한다. ④ 높은 전류의 도입시 토양의 낮은 전기전도도가 토양온도를 과다 상승시켜 미생물활성이 저해되고 함수율이 낮아지므로 전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야 한다. ⑤ 토양과 생물반응기 사이에 pH 분극화를 일으키는 함수율이 존재하였다. ⑥ 높은 함수율(35%까지)에서는 이온 및 미생물의 이동성이 향상되어 제거효율이 증가되었다.
Advisors
양지원researcherYang, Ji-Wo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생명화학공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5
Identifier
244867/325007  / 020005041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생명화학공학과, 2005.2, [ 106 p. ]

Keywords

동전기; 생물학적복원; electrolyte circulation; 석유; 전해질 순환법; Electrokinetic; bioremediation; petroleum

URI
http://hdl.handle.net/10203/28948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44867&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CBE-Theses_Ph.D.(박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