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적 노화로 인한 미세 다공성 중합체의 투과성 저하Aging: Degradation of Permeability in Microporous Polymeric Membrane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55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규남ko
dc.contributor.author고동연ko
dc.date.accessioned2019-12-13T08:21:17Z-
dc.date.available2019-12-13T08:21:17Z-
dc.date.created2019-12-03-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citation멤브레인, v.29, no.4, pp.191 - 201-
dc.identifier.issn2288-7253-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69064-
dc.description.abstract산업 응용에 적용할 수 있는 중합체 막의 상용화 전에, 고성능 중합체가 실질적인 도전, 즉 연장된 서비스 시간에대한 장기 안정성을 극복해야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매우 높은 분수 자유 부피(fractional free volume) 및 높은 투과성을 나타내는 고유한 미세 다공성 중합체(polymers of intrinsic microporosity)는 비효율적 무작위 패킹에 의해 생성된 여분의 부피가물질의 부피적 평형에서 멀어짐과 동시에, 다시 부피적 평형 상태로 복귀하려는 특성, 즉 자유 부피를 줄여가는 특정으로 인해 투과성을 감소시키는 물리적 노화에 영향을 받기 쉽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미세 다공성 고분자의 물리적 노화를 재검토하고 PIM에서 물리적 노화를 완화하려는 가장 두드러진 시도 중 일부를 논의할 것이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한국막학회-
dc.title물리적 노화로 인한 미세 다공성 중합체의 투과성 저하-
dc.title.alternativeAging: Degradation of Permeability in Microporous Polymeric Membranes-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citation.volume29-
dc.citation.issue4-
dc.citation.beginningpage191-
dc.citation.endingpage201-
dc.citation.publicationname멤브레인-
dc.identifier.kciidART002499813-
dc.contributor.localauthor고동연-
dc.description.isOpenAccessN-
Appears in Collection
CBE-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