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강현실 기반 원격 협업 시스템에서 가상 아바타의 외형이 사용자의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virtual avatar appearance on user's social presence in an augmented reality-based remote collaboration System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71
  • Download : 0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 기반 원격 협업 시스템을 통해 다른 공간에 있는 두 사용자가 서로 소통하는 경우, 상대방 아바타의 외형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 및 사용자 인식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상용 시스템이 채택한 표현 방식을 기준으로 가상 아바타의 부분적 신체 표현과 렌더링 스타일이라는 평가 요소를 선정하였으며, 총 6가지 실험 조건 별 사용자 평가를 수행하였다. 구현된 증강현실 기반 원격 협업 시스템은 2자간 협업을 지원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협업 중 대화 기반의 회의 상황을 가정하여 사용자 과업을 설계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 부하 정도에 대한 설문 평가를 실시하였고, 수행 시간 및 실험 후 인터뷰를 통해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상대방 가상 아바타와 협업하는 데 있어, 얼굴 및 양손(Head & Hands)만 보여지는 부분적 표현에 대해 낮은 사회적 실재감과 부정적 인식을 보였다. 이와 반대로, 전신(Whole Body)형태의 실제적(Realistic)으로 렌더링 된 아바타에 대해 높은 사회적 실재감을 느꼈고, 실제 사람과 협업하는 느낌이라는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상반신 (Upper Body)만 보여지는 유형이나 만화적(Cartoon)으로 렌더링 된 아바타의 경우에도 일정 수준 이상의 사회적 실재감을 제공할 수 있고, 다른 유형의 사회적 인식을 형성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협업 종류와 기술적 제약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선택적 활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Advisors
우운택researcherWoo, Woontack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8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2018.8,[iv, 45 p. :]

Keywords

증강현실▼a텔레프레젠스▼a원격텔 협업 시스템▼a사회적 실재감▼a가상 아바타; Augmented reality▼atelepresence▼aremote collaboration system▼asocial presence▼avirtual avatar

URI
http://hdl.handle.net/10203/266031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828475&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C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