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 지표와 위험프리미엄 예측 : 공매도 지수를 중심으로(The) effect of macro variables on equity premium predictability: concentrating on aggregate short interest index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406
  • Download : 0
본 연구는 한국시장에서 공매도 정보가 미래 위험프리미엄을 예측하는 훌륭한 변수가 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장전체의 공매도 잔량을 활용하여 공매도 지수 (SII)를 구축하였고,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거시경제 변수들과 예측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내표본과 외표본 모두에서 기존 예측 변수들보다 단기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으며, 자산배분 측면의 성과도 우수함을 보였다. 한국시장에서 차익거래의 제한과 상대적으로 낮은 공매도 거래량은 공매도 지수의 단기 예측력을 담보한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공매도 정보의 미래 수익률 예측력이 대부분 미래 현금 흐름 예측에 기인함을 보였다. 종합하면, 공매도 거래자들은 미래 현금 흐름에 대한 예측력이 있는 정보거래자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Miller (1977)의 정보거래가설을 지지한다.
Advisors
조훈researcherCho, Hoo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경영공학부,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8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부, 2018.2,[iii, 51 p. :]

Keywords

거시경제 지표▼a공매도 지수▼a예측회귀분석▼a위험프리미엄▼a정보거래자; Equity premium▼ainformed traders▼amacro variables▼apredictive regression▼ashort interest index

URI
http://hdl.handle.net/10203/265668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842589&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M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