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아트 작품분석을 통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새로운 발전 가능성 연구A Study on the Future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s through Digital Art Analysi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331
  • Download : 0
본 연구는 차세대 기기로 부상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기술의 발전 가능성과 새로운 미래 방향을 디지털 아트(Digital Arts)를 참조하여 모색하고자 한다. 기술 중심으로 발전해온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디지털 아트의 창의적 시도와 예술적인 아이디어들에서 영감을 받아 새로운 기술에 대한 친밀감을 느끼고 사용자들 간에 상호작용하여 접근성이 향상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예술 분야의 하나로써 디지털 아트에서 발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발전 가능성을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아트 작품인 <LifeClipper1>, <LifeClipper2>, <LifeClipper3>을 분석하여 HMD 방식의 발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공동 네트워크 방식을 통해 콘텐츠를 공유하여 활용하고,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콘텐츠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디바이스를 활용하며, HMD방식의 경량화를 통해 신체 일부가 디바이스의 역할을 대신하게 될 것이다. 둘째, <Third Hand>, <Exoskeleton>, <Muscle Machine> 작품을 분석하여 신체 부착 방식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신체 기능의 확장, 신체 이외 다른 기능의 다양화, 소형화 및 경량화의 가능성을 들 수 있다. 신체 일부분에 장착하는 방식은 외골격과 로봇 착용의 활용을 통해 신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무게가 가벼워야 하고 필요에 따라 형태가 변화되며, 필요 없을 때는 외형적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셋째, <Time Capsule>, <GFP Bunny>, <Natural History of the Enigma> 작품에서의 창의적인 시도들을 분석하여 신체에 칩을 삽입하는 방식의 미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본 결과, 외과적 수술 외에 전자 칩을 신체에 삽입하는 방식과 신체삽입 없이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체와의 일체화와 보안 문제해결이 필요하다. 각각 분류된 작품들을 분석한 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발전 방향의 공통점은 디바이스 작동 인프라 등이 보이는 형태에서 보이지 않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 새로운 발전 가능성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Publisher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Issue Date
2018-12
Language
Korean
Citation

만화애니메이션연구, no.53, pp.389 - 417

ISSN
1738-009X
DOI
10.7230/KOSCAS.2018.53.389
URI
http://hdl.handle.net/10203/262016
Appears in Collection
RIMS Journal Paper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