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나믹 모아레 방법을 이용한 시각적 모드해석에 대한 연구A study on visual modal analysis using dynamic moire method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57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진-
dc.contributor.advisorPark, Youngjin-
dc.contributor.author최진석-
dc.contributor.authorChoi, Jinseok-
dc.date.accessioned2017-03-28T07:19:37Z-
dc.date.available2017-03-28T07:19:3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49288&flag=dissertationen_US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21246-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과, 2016.2 ,[ii, 88 p. :]-
dc.description.abstract모드해석은 주기적인 가진 하에서 물체의 응답을 분석하여 물체의 동역학적 특성을 알아보는 것으로 물체의 동역학적 특성을 파악해야 하는 분야의 연구 전반에 사용된다. 모드해석을 하기위해서는 시스템의 응답을 측정하기 위해 센서가 필요하다. 센서의 종류에는 크게 가속도계 등의 접촉식과 레이저 기기, 갭센서, 디지털 카메라 등의 비접촉식 센서가 있다. 특히 최근 이미지 센서와 프로세싱 기술의 발달로 카메라로 진동을 측정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카메라를 이용하여 진동을 측정하는 것은 충분한 분해능을 얻을 수 없고 비교적 낮은 샘플링 주파수를 가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샘플링 모아레 방법을 이용하여 낮은 분해능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동적인 물체의 진동 변위 측정에 샘플링 모아레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분해능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특정점이 아닌 표면 전체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전의 연구들은 주로 카메라를 이용해 특정점의 변위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의 실험과 실제 실험을 통해 샘플링 모아레 방법으로 진동을 측정하였다. 모의실험결과 기존의 마커를 추적하는 연구의 오차보다 1/3정도 낮은 오차를 가질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제 실험에서는 영사 각도, 픽셀 당 거리, 프레임레이트, 이미지 노이즈, 그리고 노출 시간에 따라 오차가 더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차 요소들의 변화에 대한 오차 상승 정도를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실제 실험에서 제안된 측정 방법의 에러는 8~20% 정도로 기존의 LED 마커를 추적하는 방식, 제안된 방법의 모의 실험 결과, 그리고 가속도계의 측정 오차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모의 실험을 통해 알아본 오차 요소들에 대한 실제 실험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칸틸레버보를 대상으로 모드해석을 수행했다. 칸틸레버보에 스윕사인 입력을 주어서 주파수 응답함수를 구하고 고유진동수를 알아냈다. 여기에 더해 제안된 방법이 표면 전체의 변위를 한꺼번에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이용하여 고유진동수에서의 진동 형상을 쉽게 확인하였다.-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모아레-
dc.subject샘플링 모아레 방법-
dc.subject이미지 프로세싱-
dc.subject모드 해석-
dc.subject진동 측정-
dc.subjectmoire-
dc.subjectsampling moire technique-
dc.subjectimage processing-
dc.subjectmodal analysis-
dc.subjectvibration measurement-
dc.title다이나믹 모아레 방법을 이용한 시각적 모드해석에 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visual modal analysis using dynamic moire method-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Appears in Collection
M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