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College of Liberal Arts and Convergence Science(인문사회융합과학대학)" by Author 시정곤

Showing results 54 to 113 of 137

54
말 다듬기와 조어법

시정곤, 새국어생활, v.15, no.2, pp.135 - 143, 2005-06

55
명사 연결체의 띄어쓰기 실상과 처리 방향

시정곤, 새국어생활, v.12, no.1, pp.33 - 48, 2002-03

56
명사성 불구어근의 형태, 통사론적 연구

시정곤, 한국어학, v.14, no.0, pp.205 - 234, 2001-12

57
모바일 게임 환경에서 효과적인 서사 전달 방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 narrative mode in the mobile gaming environmentlink

조형재; Cho, Hyung-Jae;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2

58
목적어 있는 피동문

시정곤, 주시경학보, v.7, pp.149 - 156, 1991-04

59
문화적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영화 추천 시스템 연구

안신현; 시정곤,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pp.1 - 8, 한국정보과학회, 2008-06-30

60
밖에의 형태-통사론

시정곤, 國語學(국어학), v.30, pp.171 - 200, 1997-12

61
복수 주인공 영화에서의 시퀀스별 주체 분포에 기반한 다중형 플롯의 위상 관계 모델 연구 = Topological narrative models for Korean films of multi-protagonists and multi-plots based on sequence analysislink

김진희; Kim, Jin-Hee; 김탁환; Kim, Tak-Hwan; 시정곤;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7

62
부사화접사 -이의 통사적 해석

시정곤, 어문논집, v.32, no.0, pp.473 - 494, 1993-12

63
부정어와 어휘분해

시정곤, 제14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발표요지, pp.1 - 6, 한국어학회, 1997-02-15

64
비디오 게임 내의 배경음악이 인지적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background music in video game on cognitive processing of informationlink

김현정; Kim, Hyun-Jung; 시정곤; Shi, Chung-K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4

65
사이버 언어와 경제성의 원리

시정곤; 송민규, 국제어문, v.25, pp.201 - 224, 2002-07

66
사이버 언어의 조어법 연구

시정곤, 한국어학, v.31, pp.215 - 243, 2006-05

67
사회과학적 이슈를 주제로 한 과학 전시 기획 방법론 연구

윤아연; 전봉관; 시정곤,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 pp.111 - 112,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07-26

68
선어말어미의 형태-통사론

시정곤, 제17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pp.43 - 60, 한국어학회, 1998-12

69
선어말어미의 형태-통사론

시정곤, 한국어학, v.8, no.0, pp.5 - 38, 1998-12

70
스마트폰 홈 화면에서의 공간적 행동 양상 탐구 = Revisited Edward T. Hall : Investigating spatial behavior in smartphone home screenslink

이인정; Lee, Injung; 이지현; Lee, Ji-hyu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6

71
실시간 모바일 메신저에 나타난 세대 간 언어 사용 양상 연구

시정곤; 장정우, 한국어학, v.76, pp.1 - 54, 2017-08

72
어휘결합과 의미해석

시정곤, 언어, v.20, no.1, pp.96 - 131, 1995-03

73
어휘부 및 통사부의 단어형성

시정곤, 한국언어학회 생성문법연구회 45회 월례발표회, 한국언어학회, 1994-04-08

74
어휘적 접사화와 의미결합의 긴밀성

시정곤, 태릉어문연구, v.5, pp.225 - 235, 1995-02

75
영-한 기계번역 성능평가 방안 연구

시정곤; 김원경; 고창수, 언어와정보, v.4, no.2, pp.1 - 26, 2000-12

76
외래어의 속성으로 바라본 전문용어의 유형-음성학 분야의 전문용어를 중심으로-

신지영; 시정곤, 제2회 전문용어언어공학 심포지움, pp.148 - 155, 전문용어언어공학연구센터, 1999-11

77
우리말 접사의 통사론적 고찰

시정곤, 2006년 여름학술대회, pp.107 - 123, 2006-08

78
우리말 접사의 통사론적 고찰

시정곤, 우리말연구, no.19, pp.111 - 141, 2006-10

79
웹 시리즈 포맷에서 직접화법이 사용자의 감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direct-address method in user's appreciation in the web series formatlink

신정범; Shin, Jeong-Beom;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2

80
유튜브 사용자 참여 프로젝트에서의 협동적 창작 양상 고찰

시정곤; 신정범, HCI 2012, 한국HCI 학회, 2012-01-13

81
‘-을 수 {있다/없다}’ 구문의 통사․의미론

시정곤; 김건희, 國語學(국어학), no.56, pp.131 - 160, 2009-12

82
음운적 단어의 설정을 위한 시고

시정곤, 우리어문연구, v.7, no.0, pp.121 - 138, 1993-10

83
‘음직하’ 구성의 변천과정에 대한 통계적 접근

시정곤, 한글, no.288, pp.5 - 42, 2010-06

84
‘음직하’ 구성의 형태ㆍ통사적 연구

시정곤, 한국어학, v.48, pp.193 - 221, 2010-08

85
의존명사 구문의 양태적 고찰

시정곤; 김건희, 한국어학, v.44, pp.177 - 212, 2009-08

86
‘의존명사+이다’ 구문에 대한 양태적 고찰

시정곤; 김건희, 어문연구, v.68, pp.79 - 102, 2011-06

87
-이(다)의 -이-가 접사인 몇 가지 이유

시정곤, 주시경학보, v.11, pp.143 - 150, 1993-07

88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과제와 전망­­­­ - 카이스트 사례를 중심으로

시정곤, 작문연구, v.21, pp.57 - 87, 2014-06

89
이다' 구문과 통사적 접사설을 다시 논의함

시정곤, 한국어학, v.28, pp.55 - 80, 2005-08

90
이모티콘 사용이 사용자의 인상 및 호감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카카오톡에서 초기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emoticon usages on user's impression and likability formation : on initial interaction phase in kakaoTalklink

송윤지; Song, Yoon ji;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5

91
읽기 순서 바꾸기 : 타블렛PC 전자만화책의 레이아웃 연출

여미주; 시정곤, 만화애니메이션연구, no.24, pp.49 - 64, 2011-09

92
자연언어처리용 전자사전을 위한 한국어 기본어휘 선정

배희숙; 이주호; 시정곤; 최기선, 언어와 정보, v.7, no.1, pp.41 - 54, 2003-06

93
정보화 시대와 형태 연구의 새로운 방향

시정곤, 한민족어문학 2000년 전국 학술대회, pp.10 - 32, 2000-10-08

94
정보화 시대와 형태 연구의 새로운 방향

시정곤,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v.37, pp.7 - 35, 2000-12

95
준자립어와 준접미어에 대하여

시정곤, 한국중원언어학회 학술대회, pp.105 - 114, 2008

96
쥬샹호, 말

시정곤, 주시경학보, v.10, pp.167 - 174, 1992-12

97
증강현실 기반 손 그림자놀이를 이용한 상호작용형 전자책

김재인; 길경원; 이형묵; 우운택; 시정곤, HCI 2013, pp.335 - 338, 한국HCI학회, 2013-01-31

98
책 2.0+로서의 Multi Device e-Book: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책의 진화와의 상관성 연구 = Multi Device e-Book as Book 2.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and the evolution of the booklink

오세범; Oh, Se-Beom;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3

99
최기용(2001)에 나타난 몇가지 의문들

시정곤, 형태론, v.4, no.2, pp.339 - 348, 2002-09

100
카이스트 어휘망과 명사의미 연구

배선미; 시정곤, 한국언어정보학회 여름학술대회, pp.39 - 53, 2005-06

101
컨템포러리 회화 작품 감상 시 작품정보가 감상자의 미학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지과학적 연구 = Neuroimaging study for the effect of information about paintings on aesthetic preference for contemporary paintingslink

박성민; Park, Seong-Min; 김탁환; Kim, Tak-Hwan; 시정곤;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7

102
컴퓨터 활용 음악 학습에서 정서 요인이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성인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 The role of affective factors in computer-aided musical learning for non-musician adultslink

박새별; Park, Sae-Byul; 시정곤; Shi, Chung-K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4

103
코멘트 분석을 통해 본 소셜 e-book의 성공 가능성

이세연; 시정곤, HCI Korea 2013, HCI Korea, 2013-02-01

104
키워드 태그를 활용한 영화 서사의 연관성 계산 및 시각화 어플리케이션 = An application for calculation and visualization of narrative relevance of films using keyword tagslink

최진원; Choi, Jin-won; 김탁환; Kim, Tak-hwan; 정재승; Jeong, Jae-seung;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8

105
타블렛 PC용 전자만화책의 형태 연구 : 읽기 순서 바꾸기와 타이밍 에이전시 전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ablet PC digital comic book forms : focused on breaking Z-path and timing agency strategieslink

여미주; Yoh, Mi Ju;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2

106
태블릿 PC용 App-Book에서 터치 인터랙션과 스토리의 상관 관계 연구: 어린이용 App-Story Book을 중심으로

시정곤; 김민혜, HCI 2012, 한국HCI 학회, 2012-01-11

107
테마뮤지엄의 전시디자인 기법에 관한 연구 - 스토리텔링 전시연출기법을 적용한 티벳박물관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최고운; 김명석; 시정곤, 한국디자인학회 2005 가을 학술발표대회, 한국디자인학회, 2005-10-21

108
통계 분석을 이용한 트위터 언어 분석

시정곤, 한국어문교육연구소 제20차 전국학술대회,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9-01-11

109
통사론의 형태정보와 핵 이동

시정곤, 18회 국어학회 공동연구회 연구발표논문집, pp.143 - 149, 국어학, 1991-12

110
통사론의 형태정보와 핵 이동

시정곤, 國語學(국어학), v.22, no.0, pp.299 - 324, 1992-12

111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 사용자의 사회적 참여를 확장하는 제작 모델 디자인 = A design of social expanded participatory production model in the transmedia environmentlink

임희준; Lim, Hee-Jun; 시정곤; Shi, Chung-Kon;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3

112
품사부착 말뭉치의 품사 표지 변환에 대한 고찰-KAIST 말뭉치와 세종 말뭉치 비교를 중심으로-

시정곤; 최기선; 박병선, 한국어학회, pp.63 - 71, 2004-05-22

113
하우넷 기반 은유 온톨로지 구축 = Construction of metaphor ontology based on HowNetlink

안동근; An, Dong-Gun; 최기선; 시정곤;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7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