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orporation of a vitality measure in socio-spatial analysis: a case of old city center in daejeon, korea<대전중앙시장 활성화 구역>의 거리 활력 균등화를 위한 사회공간적 분석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763
  • Download : 0
도시 활력이란 무엇이며 이는 사용자, 토지이용, 거리구조 등 다른 도시환경요소와 어떻게 연관되어있을까? 도시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간의 상호작용은 제인 제이콥스 (Jane Jacobs), 케빈 린치 (Kevin Lynch), 및 크리스토퍼 알렉산더 (Christopher Alexander) 등의 저명한 도시학자들이 오랜 기간 동안 연구해온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활력의 개념을 이해하고 주어진 공간 내에서의 활력차이가 사회적 측면과 공간적 측면 중 어느 쪽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지 지리적 가중 회귀 (GWR) 분석 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거리활력을 정량화 하기 위하여 보행자 수를 기록하였으며 사회적 요소로는 가게주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공간적 요소는 공간구문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지로는 한 공간 내의 거리활력차이가 객관적으로 명확하게 드러나는 대전중앙시장을 선정하였다. 본 실험의 연구가설은 양방향성을 관계를 보이는 사회적 요소가 거리활력에 더 큰 영향을 친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연구가설과 부합하였다. 가게 주인이 느끼는 가게위치에 대한 몰입도 (commitment level) 계수가 거리구간간의 인접 중앙성 (closeness centrality)이나 매개 중앙성 (betweenness centrality)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거리활력은 공간적 요소에 비해 사회적 요소와 더 큰 상호작용을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대전중앙시장과 같은 소규모 활성화 구역에서 거리의 활력 균등화를 위하여 가게주인의 가게 위치에 대한 몰입도를 올리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결론 지을 수 있다.
Advisors
Lee, Ji Hyunresearcher이지현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5
Identifier
325007
Language
eng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2015.2 ,[vi, 52 p. :]

Keywords

Segmentation; Incipient slum; Vital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 Spatial configuration;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사회적 불균형; 초기 빈민가; 활력; 조직몰입도; 공간구조; 지리적 가중 회귀 분석

URI
http://hdl.handle.net/10203/203025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08302&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C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