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드벤처 게임에서 의도형성 방식에 따른 플레이어 경험의 차이The differences of player experience according to intention formation method in adventure Gam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664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봉관-
dc.contributor.advisorJun, Bong Gwan-
dc.contributor.author최준엽-
dc.contributor.authorChoi, Jun Yeob-
dc.date.accessioned2016-04-11T19:30:20Z-
dc.date.available2016-04-11T19:30:2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08310&flag=dissertationen_US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03017-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2015.2 ,[v, 49p. :]-
dc.description.abstract게임 디자인에서 개발자의 의도대로 플레이어가 행동하게끔 유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어드벤처 게임과 같이 선형적 구조를 가진 장르에서조차 적절한 방식으로 행동을 유도하지 않으면 플레이어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 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중단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일련의 행동 유도를 위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목표를 구체화함으로써 게임진행에 대한 플레이어의 의도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 환경의 강조 및 기표를 통해 의도를 형성하는 비언어적 방식과 문자를 통해 구체적인 행동지침을 제시하여 의도를 형성하는 언어적 방식이 플레이어의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게임플레이는 외적 보상이 아닌 그 자체가 주는 만족감이 주된 고려사항이므로 플레이어의 경험을 평가하는 척도로써 내적 동기의 하위 요소로 간주되는 역량감, 자율성, 현존감을 종속 변수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비언어적 방식에서 언어적 방식에 비하여 더 높은 역량감과 현존감을 경험한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게임 디자인-
dc.subject어포던스-
dc.subject내재적 동기-
dc.subject플레이어 경험-
dc.subjectGame Design-
dc.subjectAffordance-
dc.subjectIntrinsic Motivation-
dc.subjectPlayer Experience-
dc.title어드벤처 게임에서 의도형성 방식에 따른 플레이어 경험의 차이-
dc.title.alternativeThe differences of player experience according to intention formation method in adventure Game-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
dc.contributor.localauthor전봉관-
dc.contributor.localauthorJun, Bong Gwan-
Appears in Collection
GC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