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fective and cognitive dimensions correlated to abstract movement features extracted from modern dance현대 무용 움직임의 특징과 관련된 정서 및 인지 차원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006
  • Download : 0
이 논문은 무용 움직임과 관련된 정서적, 인지적 차원의 감정 부류를 제안한다. 실험을 위해 사용한 무용 움직임은 미국의 유명한 현대 무용가가 만든 5가지 기본 테크닉과 LMA 이론에 근거하여 조합한 결과물이며, 동시에 피실험자에게 제시한 정서는 무용 예술과 관련된 감정을, 기존의 폴 에크만(Paul Ekman)에 의해 밝혀진 기본 감정 외 16가지 감정 형용사를 더 제시함으로써 현대무용 움직임의 특징과 관련된 새로운 정서 및 인지 차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는 피실험자들이 움직임을 보고 느낀 주된 감정이 무엇인지를 알아내고, 특정 정서-인지와 관련있는 움직임 특징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현대무용 움직임의 특징과 관련된 정서 및 인지 차원 연구는 기존 무용 예술 장르가 가지는 단점, 즉 추상 표현 방법으로인한 관객과의 소통 부제를 경감하고자 시도한 연구다. 이런 시도는 안무가나 무용가가 관객에게 보다 직관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기본적으로 관객은 동작이 움직이는 지속 시간, 신체가 공간을 점유하는 정도, 그리고 몸이 움직이는 흐름에 크게 집중하여 동작을 파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감정과 상관관계있는 동작 특징은, 부정적 감정은 Weight(strong)에 크게 영향받으며, 긍정적 감정은 Time(sudden)에, 활동적인 혹은 활기찬 분위기의 움직임은 Time(sudden)과 Weight(strong)에 모두 영향을 받는다. 테크닉컬한 동작은 Time(sudden)에 크게 영향받는다. 크리에이티브한 동작 또한 Time(sudden)이 강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동작의 내적 측면, 숨은 의미를 표현한 동작은 Time 뿐 만 아니라 Space(indirect)한 동작 특징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비록 감정은, 그 중에서도 예술 감상은, 작품을 만든 작가의 의도와 표현 방법에 크게 영향을 받지만, 실험을 통해 밝혀진 감정과 상관관계가 있는 움직임의 특징에 집중하여 안무를 한다면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는 기본적 특성에 근거하여 표현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움직임 그 자체에 집중한 특징을 파악해내고, 이런 관점에서 감정이 서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통감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데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dvisors
Kim, Jeounghoonresearcher김정훈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5
Identifier
325007
Language
eng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2015.8 ,[vii, 56 p. :]

Keywords

affective dimension; cognitive dimension; abstract movement features; modern dance; Martha Graham; LMA; 정서 차원; 인지 차원; 추상 움직임 특징; 현대무용; 마사 그레이엄

URI
http://hdl.handle.net/10203/203004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28840&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C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