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콘텐츠 상의 시지각 자극이 주의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Effect on memorization based on visual stimulation of digital content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314
  • Download : 0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과정에서, 시지각을 활용한 학습 콘텐츠 정보 취득과 처리 과정은 학습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학습 콘텐츠의 시각적 현저성이 학습자의 주의 집중력과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시각적 현저성은 학습 콘텐츠가 동적으로 움직이는 형태와 글씨체, 크기, 색깔의 변화를 주는 콘텐츠 강조 형으로 나누었고, 영어 단어 암기 콘텐츠로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시각적 현저성이 높은 학습 콘텐츠를 이용한 경우, 학습 성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눈동자를 움직이도록 하여 주의 집중력을 강화 시킨 학습 콘텐츠를 이용할 때, 학습자의 학습 성과가 높았으나, 콘텐츠 강조 형의 경우 학습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주의 집중력을 향상되었으나, 영어 단어 암기 점수가 저조하여 학습 성과가 좋지 않았다. 시각 인지 기억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한 상황이나 학습 콘텐츠를 떠올릴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는데, 콘텐츠만을 강조한 형태는 유사한 형태의 정보를 반복적으로 제공할 뿐, 회상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학습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눈동자의 움직임을 야기하는 디지털 학습 콘텐츠 제시 방법이 주의 집중력과 회상 기억력을 향상 시켜 학습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한 디지털 학습 콘텐츠의 영상물 제시 방법을 이용할 것을 제안한다.
Publisher
한국영상학회
Issue Date
2014-06
Language
English
Citation

한국영상학회논문집, v.12, no.1, pp.39 - 50

ISSN
2092-8157
URI
http://hdl.handle.net/10203/202937
Appears in Collectio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