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祖代 蕩平政局下 國家義理書 편찬과 戊申亂 해석 - 『勘亂錄』, 『御製大訓』, 『闡義昭鑑』의 비교 검토 -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388
  • Download : 0
辛壬獄事를 거치고 즉위한 英祖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正統性 확립이었다. 영조로서는 자신의 정통성을 부정하는 정치 세력들을 철저하게 제거하는 한편으로 『勘亂錄』, 『御製大訓』, 『闡義昭鑑』과 같은 ‘국가의리서’를 편찬하여 새로운 국가의리를 확정함으로써 정통성을 강화하고 정국을 주도하려는 노력을 계속했다. 주목되는 점은 영조가 정통성을 천명하기 위한 노력의 차원에서 국가의리를 새로이 확정할 때마다 무신란에 관한 새로운 해석이 수반되었다는 점이다. 무신란 진압 직후에 편찬된 『감란록』에서 무신란은 김일경을 비롯한 소론 일부 과격파들이 저지른 역란이지만, 동시에 오랫동안 이어져온 붕당 간의 갈등과 당론이 최초의 근원으로서 해석되며, 소론과 서덕수를 비롯한 노론의 공동 책임이 강조되었다. 한편 임인옥안이 소각된 후 1741년 신유대훈이 선포되고 그것을 간행한 『어제대훈』에서는 더 이상 서덕수의 책임은 거론되지 않았다. 그는 이미 신원되었던 데다가 임인옥 자체가 무옥으로 규정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제대훈』에서는 김용택, 이천기, 이희지, 심상길, 정인중의 5인의 노론 인사만이 무신란과 관련된 자들로서 규정되었다. 1755년 발생한 을해옥사는 그간 노․소론 간의 충돌되는 정치의리를 나름 공존시키고, 그 위에서 탕평정국을 운영하려던 영조의 정치적 자세를 크게 바꾸어버렸다. 그래서 을해옥사의 최종 결과물이었던 『천의소감』에서는 무신란의 발생 책임이 전적으로 소론에게 있는 것으로 규정되는 동시에 무신란의 기원은 여태까지와 달리 김일경이 아니라, 유봉휘와 조태구까지 소급되었다. 무신란은 지나간 과거에 머물러 있는 사건이 아니라 영조대 탕평정국의 변화와 정치적 필요성에 따라서 계속 재해석될 수밖에 없는, 영조 집권기 최대의 핵심 사건이었던 것이다.
Publisher
한국사학회
Issue Date
2014-12
Language
English
Citation

사학연구, no.116, pp.71 - 104

ISSN
1225-133X
URI
http://hdl.handle.net/10203/202927
Appears in Collectio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