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사용자 혁신의 공개패턴과 영향요인The revealing pattern of consumer user innovation and its influence factor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650
  • Download : 0
사용자 혁신에서 무료 공개는 재미난 현상 중의 하나이다. 과거 몇몇 연구들에서는 시장에서 자신의 욕구를 해결하지 못한 사용자들이 혁신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들이 개발한 혁신 제품은 상업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놀랍게도 사용자 혁신가들은 이와 같이 상업적으로 가치가 높은 제품의 소유권을 포기하고, 혁신과 관련된 정보나 지식을 타인에게 무료로 공개하는 현상을 보였다. 기존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는 사용자들이 타인에게 자신들이 개발한 혁신을 무료로 공개함으로써, 다른 사람으로부터 피드백을 얻을 수 있고, 파급 효과와 같은 비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혁신의 공개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 번째, 사용자 혁신의 공개와 관련된 연구들의 대부분이 사용자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진행되었다. 커뮤니티 내에는 자신이 도움을 받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을 도와야한다는 호혜성이라는 규범이 존재하기 때문에, 혁신 공개 패턴의 결과가 편향될 수 있다. 두 번째,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선택적 공개를 고려하지 않았다. 과거의 연구들에서는 혁신의 무료 공개와 비공개를 비교하여 혁신의 무료 공개가 더 나은 선택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혁신의 공개 범주에 선택적 공개를 포함하고, 커뮤니티 활동을 하는 사용자와 하지 않는 사용자를 모두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혁신 개발을 위해 많은 돈과 시간을 투자한 경우, 상업화를 고려하는 경우, 높은 가치의 혁신을 개발한 경우에는 혁신을 선택적으로 공개하는 경향이 높음을 밝혀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다른 사용자들의 도움이 혁신의 공개에 미치는 영향을 재평가하였다. 과거 연구에서는 타인의 도움이 무료 공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간주했지만, 본 연구의 결과, 도움을 주고 받는 구조에 따라 혁신의 공개 패턴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dvisors
김영배researcherKim, Young Bae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경영공학부,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5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부, 2015.2 ,[v, 92 p. :]

Keywords

사용자 혁신; 공개; user innovation; revealing

URI
http://hdl.handle.net/10203/202491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08162&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M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