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집단 소속 여부와 기업의 R&D 생산성: 대한민국 제조업을 중심으로Business group affiliation and R&D productivity of firms: some empirical evidences from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18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창양-
dc.contributor.advisorLee, Chang Yang-
dc.contributor.author오지윤-
dc.contributor.authorOh, Jiyoon-
dc.date.accessioned2016-03-23T09:00:46Z-
dc.date.available2016-03-23T09:00:4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08169&flag=dissertationen_US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02472-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부, 2015.2 ,[iv, 35p :]-
dc.description.abstract`재벌`이라는 대규모 기업집단은 한국에만 나타나는 기업 형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제조업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업집단이라는 형태가 혁신활동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기업집단 소속 여부가 기업의 R&D 입력(R&D 집약도, 연구개발 투자 여부 등)과 출력(출원한 특허의 개수 등)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분석했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R&D 투자 대비 출원한 특허의 개수를 R&D 생산성으로 정의하고, 기업집단 소속 여부가 R&D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업의 법정유형(대기업, 중소기업)에 따라 나누어 분석한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로, 2000년대 중반 한국의 제조업에서도, 기업집단 계열사는 독립기업보다 높은 R&D 강도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기업집단 소속 대기업은 독립 대기업보다 낮은 R&D 생산성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연구개발 인력의 규모와 R&D 생산성 사이의 상관관계는 역 U자형으로 나타난다.-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기업집단-
dc.subject혁신-
dc.subjectR&D 생산성-
dc.subject연구개발 인력-
dc.subject혁신활동-
dc.subjectBusiness group-
dc.subjectinnovation-
dc.subjectR&D productivity-
dc.subjectR&D personnel-
dc.title기업집단 소속 여부와 기업의 R&D 생산성: 대한민국 제조업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Business group affiliation and R&D productivity of firms: some empirical evidences from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경영공학부,-
dc.contributor.localauthor이창양-
dc.contributor.localauthorLee, Chang Yang-
Appears in Collection
M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