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의 연속적 경험 향상을 위한 장소기반 혼합현실 게임의 서사 디자인 모델 연구A study on narrative design model of location-based mixed reality games for enhancing players’ Continuous Experienc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49
  • Download : 0
본 연구는 장소기반 혼합현실 게임에서 플레이어의 연속적 게임 경험 향상을 위한 서사의 역할과 기능을 살펴보고, 장소기반 서사 디자인의 모델과 전략 그리고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시하고자 한다. 장소기반 혼합현실 게임은 공간적, 시간적, 사회적으로 게임의 경계를 확장시켜 물리적 환경과 가상적 환경을 넘나들며 새로운 게임 체험의 가능성을 제시해왔다. 그러나 동시에 게임의 이러한 혼종적인 구조와, 게임이 일어나는 경계의 모호함, 그리고 플레이어의 이동 및 체험의 전환 등으로 인하여 연속적이고 일관된 게임 체험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이로 인해 플레이어는 지속적으로 게임에 몰입하기 어려워하거나 중도에 혼란을 느껴 게임을 포기하는 사례가 있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게임 체험의 불연속성 문제를 ‘서사적인 관점’에서 해결하고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장소기반 혼합현실 게임 고유의 구조와 특성, 체험 방식을 고찰한 뒤, ‘장소기반 서사(location-based storytelling)’ 디자인 모델을 정립하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첫째, 장소기반 서사는 허구와 진정성 사이의 이질적 요소를 어떻게 혼합시킬 수 있는가? 둘째, 장소기반 서사는 물리적 환경과 가상적 환경의 서로 다른 차원을 어떻게 통합시킬 수 있는가? 셋째, 장소기반 서사는 이동과 정지에 따른 체험의 단절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보완할 수 있는가? 본 연구는 기존의 문헌 연구를 통한 연역적 분석에 의해 위에서 제기한 질문에 답할 수 있는 근거를 들어 장소기반 서사 디자인 모델과 전략, 프로세스를 제안하였으며, 이것을 장소기반 혼합현실 게임을 구현하는 파일럿 실험에 적용하여 서사적 몰입과 연속성 등의 게임경험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탐색적 조사와 관찰을 통해 장소기반 서사 디자인 모델과 전략의 문제점을 도출해내고 향후 기획될 수 있는 검증 연구를 위한 연구적 함의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Advisors
전봉관researcherJun, Bong Gwan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4
Identifier
592290/325007  / 020124376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2014.8, [ vi, 126 p. ]

Keywords

장소기반 혼합현실 게임; Google Glass; Continuous Experience; Narrative Design Model; Location-based Storytelling; Location-based Mixed Reality Game; 장소기반 서사디자인; 게임 디자인 모델; 연속적 경험; 구글 글래스

URI
http://hdl.handle.net/10203/198042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592290&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C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