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의 무위험 금리평형 편차에 대한 실증연구An empirical study for deviations from covered interest parity between us and korea during 2006~2011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067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현정순-
dc.contributor.advisorHyun, Jung-Soon-
dc.contributor.author이옥철-
dc.contributor.authorLee, Ok-Cheol-
dc.date.accessioned2015-04-23T07:07:50Z-
dc.date.available2015-04-23T07:07:50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569804&flag=dissertation-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197172-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부, 2014.2, [ ⅲ, 49 p. ]-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2006년에서 2011년까지의 미달러와 원화사이의 외환스왑시장의 무위험금리평형에서의 편차에 대한 연구이다. 이론적으로 거래비용, 투자장벽, 그리고 외환시장 전환이 없다면, 무위험금리평형 조건은 유지된다. 하지만, 2007년의 금융 혼란과, 2008년 9월 리만 브라더스의 실패는 전 세계에 큰 충격을 안겨주었고, 이는 무위험금리평형 편차에 영향을 주었다. Baba and Packer(2008)는 금융 혼란 동안의, 미달러와, 유로달러 사이의 무위험금리평형 편차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들에 따르면, 거래상대방 위험과 유동성위험으로부터 무위험금리평형 조건이 형성되고, CDS스프레드와 미국와 유럽의 금융긴관 사이의 Libor-OIS 스트레드가 좋은 측정변수가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논문은 거래상대방 위험을 방법으로 하여,2007년에서 2011년 사이의 1, 3, 6, 12개월의 자금-만기들에서의 미달러화와 원화 사이의 무위험금리평형 편차에 대하여 조사한 것이다. 그 결과, 한국와 미국의 금융 기관의 CDS 스프레드와 Libor_OIS 스프레드가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VKOSPI-VIX 역시 무위험금리평형 편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kor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무위험금리평형-
dc.subjectliquidity risk-
dc.subjectcounterparty risk-
dc.subjectrisk premium-
dc.subjectCIP-
dc.subject유동성 위험-
dc.subject위험 프리미엄-
dc.subject거래상대방 위험-
dc.title한국과 미국의 무위험 금리평형 편차에 대한 실증연구-
dc.title.alternativeAn empirical study for deviations from covered interest parity between us and korea during 2006~2011-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569804/325007 -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부, -
dc.identifier.uid020123512-
dc.contributor.localauthor현정순-
dc.contributor.localauthorHyun, Jung-Soon-
Appears in Collection
M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