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자연순환루프에서 관내 마찰계수가 밀도파 불안정 특성에 미치는 영향Effect of pipe friction factor on density-wave instability in an open-type natural circulation loop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720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용-
dc.contributor.advisorLee, Sang-Yong-
dc.contributor.author박태정-
dc.contributor.authorPark, Tae-Jung-
dc.date.accessioned2013-09-12T02:37:59Z-
dc.date.available2013-09-12T02:37:59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514816&flag=dissertation-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181786-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전공, 2013.2, [ x, 90 p. ]-
dc.description.abstract개방형 자연순환루프에서 자연 순환은 단상 영역과 2상 영역간 밀도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개방형 자연순환회로에서 밀도파 불안정성에 관한 마찰 계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Moody 마찰 계수와 타케우치 드리프트 플럭스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Thom 2상 마찰 손실 배수가 적용되었다. 단상 영역과 2상 영역의 관내 조도에 대한 민감도를 확인하였으며, 레이놀즈수 10^4~10^6구간과 상대조도 0.00005~0.02 구간에서 마찰 계수 섭동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단상 구간에서 높은 상대 조도는 계통을 안정화시키는 반면 2상 구간에서 높은 조도는 유동 불안정성을 악화시킨다. 2상 구간에서 관내 조도는 단상 구간에서 관내 조도보다 유동 불안정성에 민감하게 영향을 미친다. 추가적으로 Moody 마찰계수를 이용하여 마찰 계수 섭동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특정 레이놀즈 수 구간에서 낮은 상대 조도 (<0.001)는 불안정 개시 출력을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반면, 높은 상대 조도 (>0.001)는 밀도파 불안정 거동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kor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드리프트 플럭스-
dc.subject밀도파 불안정성-
dc.subject자연순환회로-
dc.subject조도-
dc.subject마찰계수섭동-
dc.subjectNatural circulation loop-
dc.subjectDensity-wave oscillation-
dc.subjectDrift-flux-
dc.subjectRoughness-
dc.subjectFriction factor perturbation-
dc.subjectMoody friction factor-
dc.subjectMoody 마찰계수-
dc.title개방형 자연순환루프에서 관내 마찰계수가 밀도파 불안정 특성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Effect of pipe friction factor on density-wave instability in an open-type natural circulation loop-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514816/325007 -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전공, -
dc.identifier.uid020104335-
dc.contributor.localauthor이상용-
dc.contributor.localauthorLee, Sang-Yong-
Appears in Collection
M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