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남성의 최대산소섭취량 추정 및 타당도Prediction and Validity of O2max in Korean Me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779
  • Download : 0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남성의 최대산소섭취량을 추정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20대~50대 남성 605명을 대상으로 추정집단(n=455)과 타당도 검증집단(n=150)으로 나누었다. 추정집단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도출된 추정모형을 타당도 집단을 통해 검증하였다. 추정모형의 투입변수는 신체변인과 Bruce treadmill protocol의 3분과 6분 시점에 나타난 대사변인이다. 이 중 추정모형에 선택된 변인은 HR170에 이르는 시간, 체중, 6O2, 6분CO2, 나이, 3분CO2, 6분심박수이다. 모형1은 O2max=52.751+.023(HR170)-.444(체중)+.019(6분O2)-.009(6분CO2)-.088(나이)+.006(3분CO2)-.104(6분HR), 모형2는 O2max=32.366+.035(HR170)-.430(체중)+.018(6분O2)-.010 (6분CO2)-.080(나이)+.005(3분CO2)이다. 모형3은 O2max=32.179+.035(HR170)-.423(체중)+.018(6분O2)-.007(6분CO2)-.069(나이), 모형4는 O2max=32.286+.032(HR170)-.417(체중)+.019(6분O2)-.008(6분CO2)이다. 4개 모형 모두 높은 R값(R=.71~.73, p<.01)과 낮은 SEE(±4.5~±4.7) 및 SEE%(11.0~11.4, p<.01)가 나타났고 다중공선선이 나타나지 않았다. 타당도 검증 결과, 4개 모형에서 측정된 O2max와 추정된 O2max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R=.725~.734, p<.01), %error(-10.24~6.48), %TE(4.8~5.1)도 매우 낮게 나타나 정확도와 타당도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추정모형들은 운동처방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에서는 물론 운동부하 검사가 가능한 보건소나 연구소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다.
Publisher
한국체육학회
Issue Date
2013-07
Language
Korean
Citation

한국체육학회지, v.52, no.4, pp.461 - 470

ISSN
1738-964X
URI
http://hdl.handle.net/10203/175500
Appears in Collection
HSS-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