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증서기반의 혼합방식 암호시스템 설계 및 구현 - CHyCK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ertificate-Based Hybrid Cryptosystem - CHyCK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497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성민ko
dc.contributor.author오상엽ko
dc.contributor.author조기호ko
dc.contributor.author이경은ko
dc.contributor.author천명권ko
dc.contributor.author이영ko
dc.contributor.author천정희ko
dc.contributor.author윤현수ko
dc.date.accessioned2013-03-14T16:35:16Z-
dc.date.available2013-03-14T16:35:16Z-
dc.date.created2012-02-06-
dc.date.created2012-02-06-
dc.date.issued1994-11-01-
dc.identifier.citation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pp.108 - 117-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110811-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에서는 공개키방식 알고리즘과 대칭키방식 알고리즘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혼합방식 암호시스템 (CHyCK:Certificate-based Hybrid Cryptosystem of KAIST) 의 구현에 대해 설명한다. CHyCK는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대칭키 암호알고리즘을 이용해서 암호화하고 이 때에 사용되는 대칭키를 공개키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상대방에게 암호화된 메세지와 함께 보내게 된다. CHyCK는 공개키방식에서 사용되는 키쌍 중 공개키를 안전하게 가입자에게 분배해 주는 방법으로 인증서기반(certificate-based)방식 을 채택하였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인증서를 발급해 줄 인증기관(certifying authority)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본 암호알고리즘들은 기존의 것들 중 적합한 것으로 선택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안전성을 키분배와 메세지 전송 측면에서 분석했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한국정보보호학회-
dc.title인증서기반의 혼합방식 암호시스템 설계 및 구현 - CHyCK-
dc.title.alternative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ertificate-Based Hybrid Cryptosystem - CHyCK-
dc.typeConference-
dc.type.rimsCONF-
dc.citation.beginningpage108-
dc.citation.endingpage117-
dc.citation.publicationname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dc.identifier.conferencecountryKO-
dc.contributor.localauthor윤현수-
dc.contributor.nonIdAuthor홍성민-
dc.contributor.nonIdAuthor오상엽-
dc.contributor.nonIdAuthor조기호-
dc.contributor.nonIdAuthor이경은-
dc.contributor.nonIdAuthor천명권-
dc.contributor.nonIdAuthor이영-
dc.contributor.nonIdAuthor천정희-
Appears in Collection
CS-Conference Papers(학술회의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