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균에서 선구-M1 RNA의 3-말단 가공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부분 정제와 그 특성 조사Partial Purification and Charaterization of Enzymes Involved in the Processing of Pre-M1 RNA at the 3' End in Escherichia coli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633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하동ko
dc.contributor.author고재형ko
dc.contributor.author조봉래ko
dc.contributor.author이영훈ko
dc.contributor.author박인원ko
dc.date.accessioned2013-03-02T21:06:23Z-
dc.date.available2013-03-02T21:06:23Z-
dc.date.created2012-02-06-
dc.date.created2012-02-06-
dc.date.issued1999-06-
dc.identifier.citation대한화학회지, v.43, no.3, pp.307 - 314-
dc.identifier.issn1017-2548-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75516-
dc.description.abstract대장균의 RNase P의 RNA 성분인 M1 RNA는 대장균 rnpB 유전자의 주요한 일차전사물인 선구-M1 RNA로부터 3가공으로 생성된다. 이 가공 활성을 가지고 있는 효소 분획을 부분 정제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활성 분획을 높은 염농도에 노출시키면 가공 활성이 불활성화하는 것으로 보아, 가공효소는 여러 효소로 이루어진 효소 복합체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 효소 분획은 화학적 핵산 가수분해효소인 납(II) 이온으로 처리하면 효소 활성을 잃지만, 효소 분획 자체에서 추출한 RNA를 가하면 효소 활성을 되찾는다. 이 결과는 효소 활성에는 RNA 분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부분 정제한 효소로 형성되는 절단자리들의 분석 결과도, 3가공과정이 여러 효소에 의하여 일어나고, 적어도 두 가지 다른 경로로 일어난다는 것을 암시한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Korean Chemical Society-
dc.title대장균에서 선구-M1 RNA의 3-말단 가공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부분 정제와 그 특성 조사-
dc.title.alternativePartial Purification and Charaterization of Enzymes Involved in the Processing of Pre-M1 RNA at the 3' End in Escherichia coli-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citation.volume43-
dc.citation.issue3-
dc.citation.beginningpage307-
dc.citation.endingpage314-
dc.citation.publicationname대한화학회지-
dc.contributor.localauthor이영훈-
dc.contributor.nonIdAuthor김하동-
dc.contributor.nonIdAuthor고재형-
dc.contributor.nonIdAuthor조봉래-
dc.contributor.nonIdAuthor박인원-
Appears in Collection
CH-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