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의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연구A Study on the Aspects of Classical Literature Materials in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and Literature Textbooks According to 2015 Revised Curriculum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34
  • Download : 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교과서 12종 및 문학 교과서 10종을 살펴 교과서 내 고전문학 제재 활용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국어 교과서 안에서 고전 시가 제재는 문학사 관련 성취 기준과 가장 빈번한 결합을 이루었으며, 많이 활용된 제재는 <제망매가>, <가시리>, <용비어천가>, <동짓달 기나긴 밤>, <개를 여나믄이나 기르되>이다. 국어 교과서 안에서 고전 산문 제재는 여러 성취 기준과의 결합을 보였으나, 무엇보다 문학사 관련 성취 기준과의 결합이 가장 많았다. <춘향전>이 고전 산문 제재 전체 가운데 가장 많은 활용을 보였고, <세종어제훈민정음 서문>은 국어 표기의 변화 관련 성취 기준과 관련하여 빈번하게 활용되었다. 문학 교과서 안에서 고전 시가는 문학사나 사회⋅역사 반영 관계의 탐구 관련 성취 기준과 빈번한 결합을 이루어 제시되었고, <제망매가>, <만흥>, <속미인곡>이 교과서 수록에 선호되는 제재인 것으로 드러났다. 고전 산문 역시 마찬가지로 문학사나 사회⋅역사 반영 관계의 탐구 관련 성취 기준과 빈번한 결합을 이루었으며, 수록 선호 제재로는 <단군 신화>, <주몽 신화>, <봉산탈춤>, <흥부가>를 들어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 국어, 문학 교과서에서 고전문학 제재의 배치 및 수록 현황을 살피는 것으로 교육의 실제를 밝히고, 내용 연구의 방향을 마련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Publisher
한국문학교육학회
Issue Date
2020-03
Language
Korean
Citation

문학교육학, v.66, pp.171 - 221

ISSN
1229-487X
URI
http://hdl.handle.net/10203/282071
Appears in Collection
RIMS Journal Paper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