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장르에 적합한 움직임 기반 엔터테인먼트 로봇 성격 디자인Entertainment Robot Personality Design based on Motions for Music Genre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61
  • Download : 0
이 연구는 로봇의 움직임 요소와 성격 요소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움직임 요소에 기반 한 엔터테인먼트 로봇의 성격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 제안한 가이드라인에 기초해 디자인한 움직임 기반 성격과 로봇이 제공하는 컨텐츠 간의 적합한 조합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움직임 요소가 성격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내기 위하여, 움직임 요소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성격 요소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엔터테인먼트 로봇에 적용 가능한 움직임 요소로 방향, 속도, 크기, 반복횟수를, 성격 요소로는 지배성과 우호성을 추출하였다. 움직임 요소들의 조합으로 18개의 움직임 샘플을 제작하고, 피험자들은 모든 샘플을 경험한 후 설문을 통해 각 샘플의 성격을 평가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방향과 속도는 지배성 및 우호성과 양의 상관관계를, 크기는 우호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반복횟수는 우호성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움직임 요소에 기반 한 엔터테인먼트 로봇의 성격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또한, 로봇의 움직임 기반 성격과 컨텐츠의 적합한 조합을 알아보기 위하여, 앞서 제안한 엔터테인먼트 로봇의 성격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통해 디자인한 네 가지 성격의 움직임과 네 가지 음악 장르의 조합으로 16개의 샘플을 만들고, 피험자가 각 샘플에 대해 성격, 인상, 선호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강한 우호성을 보이는 음악 장르의 경우에는, 음악 장르의 성격과 같은 성격의 움직임이 음악 컨텐츠의 선호도를 높여주고, 약한 우호성의 움직임은 음악 장르의 성격을 감소시켰다. 또한 약한 우호성을 보이는 음악 장르의 경우에는, 지배성과 우호성이 모두 약한 움직임은 음악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 장르에 대한 움직임 기반 성격의 적합한 적용 방향을 제안하였다.
Publisher
한국디자인학회
Issue Date
2009-09
Language
Korean
Citation

디자인학연구, v.23, no.1, pp.5 - 14

ISSN
1226-8046
URI
http://hdl.handle.net/10203/96179
Appears in Collection
ID-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