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자유도 잔향 모델을 이용한 실내 잔향 필터 설계를 위한 조건Constraints for the Design of Room Reverberation Filter by Using 5-DOF Reverberation Model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94
  • Download : 0
잔향에 대한 인간의 주관적인 지각을 객관적인 수치로써 나타내는 방법으로 5자유도 잔향 모델이 제안된 바 있다[1]. 5자유도 잔향 모델은 잔향에 대한 다섯 개의 객관적인 평가량들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음 에너지 감쇠 곡선을 근사한 것으로, 인공적으로 잔향을 합성하고자 할 때 잔향 필터의 설계 기준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로부터 구현할 수 있는 잔향 필터는 이론적으로 무한히 많을 수 있고, 따라서 인간이 듣기에 부자연스러운 합성음을 만들어 내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논문은 5자유도 잔향 모델의 한계를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잔향 모델, 즉 원하는 잔향 조건이 주어졌을 때 자연스러운 잔향을 얻기 위해 필요한 필터 설계 기준을 실제 청음 실험을 통하여 제시하고 있다.
Publisher
한국음향학회
Issue Date
2001-02
Language
Korean
Citation

한국음향학회지, v.20, no.2, pp.58 - 65

ISSN
1225-4428
URI
http://hdl.handle.net/10203/84578
Appears in Collection
ME-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