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적 모우드시험을 위한 가진점과 응답측정점의 결정Determination of Excitation and Response Measurement Points for an Efficient Modal Testing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423
  • Download : 0
본 연구에서는 해석적 모우드해석 결과인 모우드 형상벡터를 이용하여 효과적 인 가진점과 응답측정점을 선정하는 기존의 두 방법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고 비교검토 하고자 하였다. 첫번째 방법은 주파수응답함수에서 관심있는 모우드의 공진피크치와 관련있는 모우드상수를 이용하는 것이고, 두번째 방법은 계의 관심있는 모우드에 대한 동적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도록 특이치분해(singular value decomposition) 기 법을 적용함으로써 계의 대표자유도(master degree of freedom) 지점들을 선저하는 것 이다.우선 단순한 계인 외팔보아 알루미늄평판에 대해 두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비 교검토하였고, 이 결과로부터 두번째 방법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보다 복잡한 형상을 갖는 승용차의 부분구조물인 조향휠고정대 (deck cross member : DCM)에 대해서 두번째 방법을 이용하여 모우드 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논 하였다. A method, which uses analytical or numerical modal analysis results, e.g. from finite element analysis, to select desirable response measurement and excitation points for an efficient modal testing is introduced. First, points of master degree of freedom(DOP) are determined so as to statistically minimize errors between responses of a full order model and those estimated from the reduced order model. Such master DOFs are selected as the response measurement points. Then a criterion named driving point model constant(DPMC) related to the magnitudes of resonance peaks of the driving point freqency response functions used to select the point of excitation out of the master DOFs. In this work, the method is demonstrated through applications to modal testing on a one dimensional cantilever beam and an aluminum plate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by another technique. also, the method is applied to a two dimensional structural component of a passenger car.
Publisher
대한기계학회
Issue Date
1992-01
Language
Korean
Citation

대한기계학회논문집, v.16, no.9, pp.1643 - 1653

ISSN
1643-1653
URI
http://hdl.handle.net/10203/66910
Appears in Collection
ME-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