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Dept. of Digital Humanities and Computational Social Sciences(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by Author 신동원

Showing results 1 to 60 of 61

1
18, 19세기 조선사회 홍역의 유행과 대응

신동원, 대한의사학회 60주년 기념 학술대회, pp.3 - 4, 대한의사학회, 2007

2
1910년 전후 천도교의 위생론-치병에서 위생으로

신동원, 갑진 개화혁신운동 100주년 기념학술발표회, 2004

3
1910년대 일제의 보건의료 정책-한의학정책을 중심으로

신동원, 한국문화, v.0, no.30, pp.1 - 370, 2002-12

4
1960년대 이후 북한 한의학의 변천과 성격

신동원, 한국과학사학회지, v.25, no.1, pp.43 - 67, 2003-06

5
Korean Medical Discourses on Western Medicine, 1720-1876

신동원, 다산학, no.15, pp.181 - 218, 2009-12

6
“Nationalistic” Acceptance of Sasang Medicine

신동원,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9, no.2, pp.143 - 163, 2006-06

7
"건강은 국력" 개념의 등장과 전개

신동원, 보건학논집, v.37, no.1, pp.36 - 50, 2000-06

8
The Biggest Encyclopedia of Joseon Meets Modern Readers

신동원, 한국과학사학회지, v.34, no.2, pp.359 - 367, 2012-08

9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Medicine: Discourses on the Body, Illustration and Dissection

신동원,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13, no.1, pp.149 - 178, 2010-03

10
강릉 약국계를 통해본 조선후기 지방의료계의 변화, 1603~1842

신동원, 제49회 전국역사학대회, 한국사연구회, 2006

11
공립의원 제중원, 1885-1894

신동원, 한국문화, v.16, no.1, pp.181 - 260, 1995-12

12
김옥균의 治道思想에 관한 고찰

신동원, 한국보건사학회지, v.1, no.1, pp.53 - 59, 1990-11

13
납약, 언해납약증치방, 그리고 허준

신동원, 한국의사학회지, v.13, no.2, pp.23 - 28, 2000-12

14
다산은 <현산어보>가 아니라 <자산어보>라고 불렀다

신동원, 역사비평, no.81, pp.381 - 390, 2007-11

15
대한의원의 역사적 의미

신동원, 서울대학교 병원 역사 심포지엄-근대의학의 상징 대한의원 고찰, 2005

16
드라마 속의 허준과 역사 속의 허준

신동원, 의료평론, v.1, no.0, pp.305 - 339, 2000-09

17
드라마 속의 허준과 역사 속의 허준-사료로 재구성한 허준의 생애와 학문

신동원, 한국방송비평회, 2000

18
미국과 일본 보건의료의 조선 진출 :제중원과 우두법 :근대화와 제국주의 사이에서

신동원, 역사비평, v.56, no.0, pp.334 - 350, 2001-09

19
미키 사카에(三木榮)의 한국의학사 연구-성취와 문제점

신동원, 역사문화연구, v.0, no.0, pp.75 - 92, 2005-02

20
벽역신방과 세계질병사에 빛나는 허준의 성홍열 연구

신동원, 허준박물관 기념학술대회, 2008

21
변강쇠가로 읽는 성.병.주검의 문화사

신동원, 역사비평, no.67, pp.307 - 332, 2004-05

22
병과 의약생활로 본 정약용의 일생

신동원, 다산학, no.22, pp.259 - 328, 2013-06

23
세균설과 식민지 근대성 비판

신동원, 역사비평, no.58, pp.341 - 363, 2002-02

24
실학과 과학기술

신동원, 경기도박물관 세미나-, 경기문화의 정체성과 실학의 의미, 1994

25
심청전에 나타난 효열과 맹인의 사회사

신동원, 전주대학교 부안군지역혁신지원단, 2007

26
심청전으로 읽는 맹인의 사회사

신동원, 역사비평, no.63, pp.330 - 352, 2003-05

27
양력과 음력

신동원, 역사비평, no.73, pp.123 - 126, 2005-11

28
유의儒醫의 길 : 정약용의 의학과 의술

신동원, 다산학, no.10, pp.171 - 224, 2007-06

29
의학과 의술로 본 이규보(1168-1241)의 시대: 고려시대 의료생활사의 모색

신동원, 제50회 전국역사학대회, 2007-06

30
일본 보건의료의 근대화 과정

신동원, 과학사상, v.32, no.0, pp.199 - 217, 2000-02

31
일본 식민지시대 한의학의 정책과 제도

신동원, 식민지시기 한의학의 제도/이론적 근대화 연구 세미나, pp.1 - 6, 2006

32
일제하 한국인의 사망율 감소 원인에 관한 한 고찰-급성전염병 발생율·사망율·치명율을 중심으로

신동원, 한국과학사학회, 1987

33
전녀위남법의 고고학

신동원, 역사민속학, v.9, no.1, pp.299 - 314, 1999-11

34
정약용의 의학과 의술

신동원, 다산학 국내 학술대회, pp.5 - 35, 2006

35
제중원(1885-1894), 조선 정부와 미 선교회, 동거에서 경쟁 관계로

신동원, 의학교 설립 110주년 학술심포지엄 발표, pp.1 - 11, 2009

36
조선말기(1876-1910) 근대보건의료체제의 형성과정과 그 의미

신동원; 황상익, 의사학, v.5, no.2, pp.155 - 168, 1996-12

37
조선말의 콜레라 유행, 1821-1910

신동원, 한국과학사학회지, v.11, no.1, pp.53 - 86, 1989-06

38
조선시대 지방의료의 성장 :관 주도에서 사족 주도로, 사족 주도에서 시장 주도로―강릉 약계(1603~1842)의 조직과 해소를 중심으로―

신동원, 한국사연구, no.135, pp.1 - 30, 2006-12

39
조선시대의 역병과 방역

신동원, 전통과현대, v.0, no.17, pp.21 - 33, 2001-08

40
조선시대의 의학론

신동원, 의사학, v.13, no.1, pp.9 - 9, 2004-06

41
조선총독부의 한의학 정책- 1930년대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

신동원, 의사학, v.12, no.2, pp.2 - 128, 2003-12

42
조선후기 의약생활의 변화: 선물경제에서 시장경제로-미암일기, 쇄미록, 이재난고, 흠영의 분석

신동원, 역사비평, no.75, pp.344 - 391, 2006-05

43
조선후기 의원의 존재 양태

신동원, 한국과학사학회지, v.26, no.2, pp.197 - 246, 2004-12

44
조선후기의 의학과 실학

신동원, 실학컨퍼런스, 2007

45
주희와 연단술: "주역참동계고이"의 내용과 성격

신동원, 한국의사학회지, v.14, no.2, pp.45 - 58, 2001-12

46
철갑 거북선 논쟁사: 거북선은 철갑선이었는가

신동원, 역사비평, no.81, pp.364 - 380, 2007-11

47
최한기의 기학과 의학

신동원, 현곡학회 제25차 월례모임, 1996

48
최한기의 농학

신동원, 과학사상, v.30, no.0, pp.164 - 187, 1999-11

49
한국 근대보건의료 제도의 탄생, 1876-1894

신동원, 과학과 철학, v.6, no.1, pp.278 - 297, 1995-11

50
한국 보건의료사 연구동향

신동원, 한국보건사학회지, v.2, no.1, pp.101 - 116, 1992

51
한국 우두법의 정치학 : 계몽된 근대인가, 근대의 계몽인가

신동원, 한국과학사학회지, v.22, no.2, pp.149 - 169, 2000-12

52
한국 의료윤리의 역사적 고찰 : 의사윤리강령(1955-1997)의 분석을 중심으로

신동원, 의사학, v.11, no.2, pp.163 - 204, 2000-12

53
한국 전통의학의 의학윤리와 생명윤리 :조선시대의 의서를 중심으로

신동원, 종교문화비평, v.5, pp.65 - 90, 2004-06

54
한국 한의학의 생명윤리-자연과 자연, 자연과 인위의 대립

신동원, ELSI 연구, v.1, no.2, pp.159 - 179, 2003-12

55
한국과학사에서 본 석주명

신동원, 탐라문화, no.40, pp.77 - 107, 2012-02

56
한의학(漢醫學)과 한의학(韓醫學)

신동원, 역사비평, no.73, pp.119 - 122, 2005-11

57
해방 이후 북한 한의학의 변천, 1945-1960

신동원, 한국과학사학회지, v.25, no.2, pp.147 - 175, 2003-12

58
향약의술 발달이 인구증가를 이끌었을까

신동원, 역사비평, no.61, pp.251 - 264, 2002-11

59
허준의 공신 책봉 교서에 대하여

신동원, 한국과학사학회, 2005

60
허준의 성홍열 연구 - 동아시아 최초의 보고서 -

신동원, 한국과학사학회지, v.21, no.2, pp.143 - 156, 1999-12

Discover

Type

Open Access

Date issued

. next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