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in Drivers and Performance of Eco-innovation에코이노베이션의 주요 동인과 성과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95
  • Download : 0
에코이노베이션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지만 에코이노베이션의 동인, 활동 및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문헌은 많지 않다. 기존문헌들이 환경경영관점에서 환경전략을 평가하거나 에코이노베이션의 수행에 영향을 끼치는 동인을 식별하는데 초점을 맞춘 반면, 에코이노베이션 활동은 여전히 규명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에코이노베이션 활동의 강도를 매개변수로 추가함으로써, 에코이노베이션의 성과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한 직접적 동인과 간접적 주요 동인들을 추출하는 것이다. 우선 연구모형과 가설 수립하기 위하여 문헌검토와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아홉 개의 에코이노베이션 성공사례에 대한 심층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는 에코이노베이션의 여러 패턴과 현상을 관찰하였다. 사례연구결과를 통해 연구모형이 수정되었고, 확장된 세 개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83개 샘플에 대한 통계분석이 실시되었다. 통계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규제를 혁신의 장애물이 아니라 기회의 원천으로 인식한 기업들이 왕성한 에코이노베이션 활동과 혁신성과를 보였다. 둘째, 환경제품에 대한 시장요구, 에코이노베이션을 위한 기업의 기술역량 환경시스템역량, 환경마케팅역량이 에코이노베이션 활동과 혁신성과의 주요 동인으로 나타났다. 즉, 왕성한 혁신기업들은 다양한 시장요구에 대응하고 있거나, 높은 기술역량을 보유했거나, 최고경영자에 의한 선도적인 환경전략과 EMS나 LCA와 같은 환경시스템을 갖춘 기업일 가능성이 크다. 셋째, 에코이노베이션 활동은 인지된 혁신성에 의해 측정된 환경제품의 성과에 영향을 끼쳤지만, 혁신동인과 환경제품의 혁신성을 매개하는 역할을 보이지 않았다. 두 변수간의 관계를 충분히 설명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상황 변수들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에코이노베이션 활동과 성과를 촉진하기 위한 출발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일부 정책적, 관리자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dvisors
배종태researcherZong-Tae Bae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1
Identifier
467518/325007  / 020093358
Language
eng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과, 2011.8, [ iv, 78 p. ]

Keywords

Eco-innovation performance; Driver; Environmental innovation; Eco-innovation; 에코이노베이션 성과; 동인; 환경혁신; 에코이노베이션

URI
http://hdl.handle.net/10203/52860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467518&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KGSM-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