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구매행동이 롱테일 현상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long-tail phenomen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03
  • Download : 0
최근에 우리의 주변에서 롱테일 현상에서 여기 저기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 롱테일 경제학의 개념은 전자상거래에서 부터 시작되었다. 낮아진 탐색 비용과 진열 비용이 감소함에 따라서 틈새시장제품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그러나 롱테일 경제학의 장기적인 변화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gent-based modeling 접근법을 사용하여 소비자 구매 행동에 따라서 롱테일 현상에 대해서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첫째로,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수가 증가할 때 롱테일 현상에서 소비자 구매 행동이 조절효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특히, 제품의 수가 증가할 때 소비자가 다양성 추구 경향이 높으며 지각된 위험이 낮을 경우에 롱테일 현상이 심화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시간이 변화할 때도 같은 결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시간이 변화할 때도 소비자 구매행동이 롱테일 현상에서 조절효과로 작용한다. 소비자가 다양성 추구 경향이 높으며, 지각된 위험이 낮을 경우에 롱테일 현상이 다른 경우에 비해서 심화되어서 나타나며 다양성 추구 경향이 낮으며, 지각된 위험이 높을 경우에는 롱테일 현상이 빠르게 소멸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Advisors
안재현researcherAhn, Jae-Hyeo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8
Identifier
297338/325007  / 020063650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전공, 2008.2, [ v, 43 p. ]

Keywords

long-tail; pareto-rule; ABM; product category; number of product; 롱테일; 파레토룰; 에이전트기반시뮬레이션; 제품카테고리; 제품의수

URI
http://hdl.handle.net/10203/52710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97338&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KGSM-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