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다각화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353
  • Download : 0
다양한 영역으로 사업 다각화를 했던 대규모 기업들이 ‘back to basic’이라 불리는 사업 구조조정을 실시하여 사업 다각화의 범위는 줄였지만 기술 다각화의 범위는 오히려 늘리거나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이러한 현상은 기업간 경쟁이 심해지면서 사업 다각화는 기업의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반면에, 기술 다각화는 기업의 성장과 수익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 다각화와 기업의 성과간의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기술 다각화의 결정 요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조업 내 상장사들 중에서 1991년부터 2000년까지 특허를 1개 이상 출원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술 다각화의 정도는 각 기업이 해당 기간 동안 출원한 특허를 이용해 엔트로피 지수로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의 기술 다각화는 기업 내부의 자금조달능력, 지식 축적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기술 역량이 클수록 기술 다각화가 증가하였으며, 마케팅 역량은 비관련 기술 다각화에는 양의 영향을, 관련 기술 다각화에는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 특성으로는 기업이 속한 산업의 수익성이 낮을수록, 산업 집중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 외부에 확산되어 있는 지식의 중요성이 커질수록 이를 잘 흡수하기 위해서 기술 다각화를 하며, 기술적 체제에 따라 기술 다각화의 패턴이 바뀌는 현상도 발견하였다.
Advisors
이창양researcherLee, Chang-Yang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5
Identifier
249608/325007  / 020037582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전공, 2005.8, [ iii, 58 p. ]

Keywords

흡수역량; 결정요인; 기술적 체제; 다각화; 기술 다각화; 자원근거 관점; resource-based view; absorptive capacity; determinants; technological regime; diversification;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URI
http://hdl.handle.net/10203/52555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49608&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KGSM-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