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요인을 고려한 건설보증의 신용리스크 측정에 대한 실증분석 : 건설공제조합의 건설보증을 중심으로An empirical study on measuring credit risk of construction surety bond considered macro economy factor : focusing on surety bond of Korea construction guarantee cooperatives(KCGC)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002
  • Download : 0
건설보증의 경기민감성은 보증손해율의 경기변동에 따른 민감도(탄력도)를 의미한다. 건설보증의 경기민감성은 surety bond의 손해율과 경기변동과의 관계속에서 경기침체기에 손해율의 급격한 증가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건설보증의 이러한 경기민감성을 실증적으로 밝혀내기 위해 경기변수를 성장성, 안정성, 경기순환성 지표로 분류하여 이러한 경기변수가 건설회사의 부도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전통적 회계정보를 이용한 부도율 추정모델에 덧붙여 이른바 거시변수를 함께 고려한 통합형 부도율 추정 모델을 로짓(LOGIT) 분석을 통하여 시도하였다.이를 바탕으로 건설보증기관의 예상손실, 예상손실에 대응한 보증료율 산정을 추정하기 위하여 보증기관의 역사적 손해율을 경기상황에 따른 2가지 시나리오로 가정하여 거시경기변동에 따른 부도율(신용리스크)의 변화, 부도율 변화로 인한 예상손실의 변화, 예상손실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적정 보증요율의 추정으로 논리를 전개한다. 부도율 예측모델을 추정하기 위하여 우선 우리나라 건설회사를 규모에 따라 (시공능력평가액을 기준) 두개의 집단(상장기업집단 약 75개, 중견기업집단 250~2500억원; 약 500개사)으로 분류하여 재무변수 19개와 거시변수7개를 설명변수로 한 로짓분석으로 통하여 상장집단은 4개의 모델을, 중견집단은 6개의 모델을 각각 추정하였다. 재무변수로 총자산, 총부채관련 지표(총자산회전율, 총자산/총부채), Log 총자산 들이, 거시변수로 건설업성장율과 건설업 부도율 등이 부도율예측에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부도율예측모델에 의한 예상부도율을 바탕으로 건설공제조합의 예상손실변화를 분석한 결과 건설공제조합의 보증요율은 Bad Scenario 가정시 양집단 모두 예상손실을 충당할 수 없는 것으로, Netural Scenario 가정에서 상장집단의 위험을 충족할 수 없는 것으로 분석돼, 경기변동에 따른 부도율 변화를 수수료를 통해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dvisors
조훈researcherCho, Hoo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전문대학원,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0
Identifier
454760/325007  / 020063988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전문대학원, 2010.2, [ viii, 90, 2 p. ]

Keywords

보증의 경기민감성; 로짓분석; 신용리스크측정; 건설보증; 건설공제조합; Korea Construction Guaranty Cooperatives; Guaranty`s sensitivity to business cycle; Logit Model; Credit Risk; Construction Guaranty

URI
http://hdl.handle.net/10203/52411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454760&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KGSF-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