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효해약률 가설에 대한 실증분석An empirical study on the lapse rat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768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동석-
dc.contributor.advisorKim, Tong-Suk-
dc.contributor.author박진해-
dc.contributor.authorPark, Jin-Hae-
dc.date.accessioned2011-12-26T08:41:22Z-
dc.date.available2011-12-26T08:41:22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97393&flag=dissertation-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52363-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전공, 2008.2, [ iii, 27 p. ]-
dc.description.abstract실효해약률과 관련하여 두가지 가설이 있다. 하나는 긴급자금가설이고 또 하나는 이자율가설이다. 보험산업에서 실효해약률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데 특히 보험회사의 부채 평가와 관련되어 있다. 더구나 새로 도입될 예정에 있는 국제회계기준은 보험자로 하여금 판매하고 있는 상품에 내재되어 있는 각종 옵션가치를 반영하도록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실효해약률 가설을 검정하는 데 있어 실업률과 이자율 그리고 해약률 간의 공적분 관계를 이용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실업률과 이자율이 장기적으로는 해약률에 영향을 미치지만 단기적으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계약자들이 계약을 해약하는 데 있어 이자율이나 실업률에 그다지 민감하게 반응하지는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세 변수간의 공적분관계가 고려된 오차수정모형의 충격반응함수를 보면, 현재 시점에서 이자율의 일시적인 충격이 해약률에 미치는 영향이 실업률에 비해 크고 오래 지속됨을 알 수 있다. 즉, 해약률 모형을 설정하는 데 있어 이자율이 실업률보다 더 의미가 있다는 것과 분석대상기간 자료를 볼 때 이자율 가설이 강하게 지지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kor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lapse rate-
dc.subjectemergency fund hypothesis-
dc.subjectinterest rate hypothesis-
dc.subjectcointegration-
dc.subjecterror correction model-
dc.subject실효해약률-
dc.subject긴급자금가설-
dc.subject이자율 가설-
dc.subject공적분 관계-
dc.subject오차수정모형-
dc.title실효해약률 가설에 대한 실증분석-
dc.title.alternativeAn empirical study on the lapse rate-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297393/325007 -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 금융전공, -
dc.identifier.uid020063789-
dc.contributor.localauthor김동석-
dc.contributor.localauthorKim, Tong-Suk-
Appears in Collection
KGSF-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