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화채권 가격결정방법에 대한 실증연구 : power spread note 중심으로An empirical study on the valuation of power spread not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98
  • Download : 0
본 연구는 금년 7월말부터 발행되기 시작한 구조화채권인 Power Spread Note의 가격을 균형모델인 CIR모형과 무차익모형인 two factor Hull-white모형, 그리고 현재 수익률곡선을 이용한 방법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특히 이 구조화채권은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스왑스프레드가 역전된 비정상적인 시장상황을 이용한 차익거래 성격을 갖는 채권이다. CIR모형을 이용하여 구한 이론가는 발행가 보다 높게 나왔고 Hull-White모형을 이용하여 구한 이론가와 현재 이자율곡선의 선도이자율을 통해 구한 이론가는 발행가보다 낮게 계산되었다. 이는 균형모형인 CIR모형의 경우 이러한 스왑스프레드의 역전현상을 반영하지 못하여 발행가보다 높게 나온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구조화채권의 평가시 발행자와 Swap bank의 시장상황 그에 따른 상품개발 아이디어, 헷지 포지션까지 고려하여 평가를 하여야만 발행자입장에서의 정확한 가격을 산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구조화채권은 현재 이자율곡선을 정확히 반영하는 무차익모형을 사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Power Spread Note의 발행이 채권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헤지수요가 국고채 수요를 증가시켜 스왑스프레드를 축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스왑스프레드의 축소폭은 구조화채권의 발행물량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구조화채권들의 발행이 채권시장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채권운용등에서도 이러한 요소가 고려 되어져야 할 것이다.
Advisors
김동석researcherKim, Tong-Suk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7
Identifier
262145/325007  / 020053754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전공, 2007.2, [ v, 48 p. ]

Keywords

구조화채권; Structured Note

URI
http://hdl.handle.net/10203/52321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62145&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KGSF-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