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방법에 의한 비정질 반도체 실리콘의 HydrogenationHydrogenation of amorphous silicon by new techniqu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457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주천-
dc.contributor.advisorLee, Choo-Chon-
dc.contributor.author장진-
dc.contributor.authorJang, Jin-
dc.date.accessioned2011-12-14T07:46:23Z-
dc.date.available2011-12-14T07:46:23Z-
dc.date.issued1979-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2395&flag=dissertation-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47935-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물리학과, 1979.2, [ ii, 67 p. ]-
dc.description.abstract진공 증착으로 얻어진 비정질 실리콘 박막의 annealing과 hydrogenation 효과를 조사했다. annealing은 $10^{-5} torr$의 진공 속에서 한 시간 동안 행해졌으며, hydrogenation은 시료를 만든 후에 시료를 가열하면서 시료의 표면에 수소의 plasma 상태를 만들어 수소 원자가 시료 속으로 확산되어 들어가게 했다. Annealing 온도가 350℃일 때 상온에서의 전기전도도가 가장 작고 optical band gap이 가장 크다. hydrogenation도 350 ℃ 근처에서 잘 되며, 이 때에 상온에서의 전기전도도는 $4 × 10^{-9} Ω^{-1} cm^{-1}$이고 optical band gap은 1.69 eV이다. 350℃에서 hydrogenation된 시료의 전기전도도는 상온 이상에서 singly activated 형태로 표시되나, 400˚K 이상에서는 갑자기 증가했다. 이는 dehydrogenation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일어남을 의미한다.kor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title새로운 방법에 의한 비정질 반도체 실리콘의 Hydrogenation-
dc.title.alternativeHydrogenation of amorphous silicon by new technique-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62395/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 물리학과, -
dc.identifier.uid000771130-
dc.contributor.localauthor장진-
dc.contributor.localauthorJang, Jin-
Appears in Collection
PH-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