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접장이용 저장장치의 광학헤드 자동정렬에 관한 연구A study on auto-alignment of near-field recording optical head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22
  • Download : 0
멀티미디어,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더 많은 용량의 정보저장 기록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광학 기록장치는 회절한계로 인한 기록용량의 한계에 점점 근접하고 있어 이를 극복할 여러 방법이 연구중에 있다. 그중 SIL, 근접장을 이용하여 회절한계를 극복한 기록장치가 소개되었다. 하지만 SIL을 이용한 근접장 기록장치는 광학헤드부의 위치정렬이 매우 정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실험실 단계에서의 대물렌즈와 SIL의 위치정렬을 수행할 3단계 정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1단계로 대물렌즈의 기울어짐 정렬을, 2단계에서는 SIL의 위치정렬을, 마지막 3단계에서는 SIL과 대물렌즈의 포커싱 정렬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기학광학 시뮬레이션으로 알고리즘을 검증하고 마지막으로 실제 실험으로 SIL과 대물렌즈를 정렬하게 된다. 또한 SIL과 대물렌즈의 정렬공차를 선정하게 되는데 대물렌즈의 기울어짐 정렬공차는 축당 0.1도이내, 포커싱방향은 1.3㎛이내, SIL의 위치 정렬공차는 30㎛이내로 선정되었다. 이를 최종실험의 결과와 비교하여 정렬의 타당함을 비교한다.
Advisors
권대갑researcherGweon, Dae-Gab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1
Identifier
165899/325007 / 000993546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전공, 2001.2, [ vii, 70 p. ]

Keywords

정렬공차; 자동정렬; 근접장; 광학헤드; solid immersion lens; optical head; auto-alignment; near-field

URI
http://hdl.handle.net/10203/45245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165899&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M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