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전트 기반 모델링에 의한 근접전투 손실예측 관련 연구Close-combat attrition estimates by agent-based modeling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001
  • Download : 0
전시 전투손실 (인원/장비/탄약 손실 등)에 대비하는 것은 전쟁 승리를 거두고, 평시 국방비 소요절감 (예비군 동원훈련, 장비 확보 및 탄약 비축 소요 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과학적으로 신뢰성 있는 전투손실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전시 전투손실 중 가장 치열하고 전투손실 피해가 많은 근접전투 간 실전적이고 신뢰성 있는 전투손실을 예측하는 것은 특히 필요하다. 근접전투 전장상황의 변화는 무기체계의 발달과 전투지휘체계 (지휘/ 통제/통신체계 등)의 발전으로 선형 전선의 화력 전 양상에서 비 선형화된 전장상황으로 변화되고 있다. 근접전투 손실예측을 위한 현존 한국군의 방정식 기반 모델링 방법론은 비선형화된 다 정면 전투공간에서 실시간 부대간의 전투행위 상호작용과 상이한 지휘결심에 의한 근접전투 모의 및 손실결과 분석이 제한된다. 본 논문의 연구목표 및 연구절차는 먼저 현존 방정식/에이전트 기반 모델의 제한사항을 해결할 수 있는 에이전트 기반 모델을 활용하여 신뢰성 있는 근접전투 손실을 예측하고, 다음으로 예측된 손실 결과 값과 관련하여 전장교리 상 의미 있는 사실 분석으로 실제 근접전투 전장상황 하에서 아군의 전투손실 최소화에 기여를 하며, 마지막으로 확장 연구로서 본 연구에 적용된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 방법론의 국방 M&S 분야에 적용개념 제시로 한국군 국방 M&S 분야의 핵심기술로서 가상 군 자율행위 모의 방법론을 제공 하는데 있다. 현존 방정식 기반 모델 (Lanchester형 모델) 및 에이전트 기반 모델 (독일의 DNS 모델) 대비 본 연구 적용 에이전트 기반 모델에 의한 근접전투 손실예측 모의실험결과 교전 지속시간 측면과 교전 초기/말기 전투손실 변화 비율 측면 및 평균 전투손실 증감비율 측면에서 보다 실제적이고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적용 에이전트 기반 모델을 사용하여 근접전투 손실에 영향을 주는 핵심요소 (피아 부대배치 조정, 상하 제대 통신소통여부 및 지형구분)에 의한 복합 모의실험을 하여 전장교리상 의미 있는 사실 분석을 하였다. 피아 전투력 차이에 의한 사실 분석결과 현대의 망 중심체계 전쟁에서 비 전투장비인 통신 장비가 전투장비인 전차보다도 근접전투 손실에 더 많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등의 전장교리상 새로운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다.
Advisors
이태억researcherLee, Tae-Eog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및시스템공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9
Identifier
309055/325007  / 000995116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및시스템공학과, 2009.2, [ xi, 145 p. ]

Keywords

War-game; Equation-based Modeling; Agent-based Modeling; 워게임; 방정식 기반 모델링;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 War-game; Equation-based Modeling; Agent-based Modeling; 워게임; 방정식 기반 모델링;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

URI
http://hdl.handle.net/10203/40635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309055&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IE-Theses_Ph.D.(박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