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자기 공명영상에서 새로운 모델링에 의한 자화율 효과와 혈류효과의 뇌기능 영상 비교연구Comparison of susceptibility and infow effect for MRI functional imaging by a new modeling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11
  • Download : 0
핵자기 공명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자화율효과에 의한 뇌기능 영상에 관한 연구가 지금 한창 진행중이다. 지금껏 보고된 여러 논문에서는 CGE를 이용하여 자화율 효과만의 신호변화를 얻었다고 밝혀진바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CGE를 이용한 뇌기능 영상이 자화율 효과에 의해서만 얻어진 것이 아니라 혈류효과와 자화율효과의 혼합된 신호인 것을 눈에 자극을 주어 얻은 뇌기능 영상실험으로 밝혀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자화율 효과와 혈류효과의 혼합된 신호에 대한 새로운 모델링을 제시하였고, 실험으로 얻은 자료와 이 모델링이 상당히 일치함을 보이고 있다. 또한 TRFGE 라는 새로운 기법을 이용하여 이러한 혼합된 신호로부터 자화율 효과가 강조된 신호변화를 추출할 수 있었다. 역시 실험자료와 산소의 공급과 사용에 대한 모델링이 상당히 일치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Advisors
조장희researcherCho, Zang-Hee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정보 및 통신공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1994
Identifier
69648/325007 / 000927051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정보 및 통신공학과, 1994.2, [ 42 p. ]

URI
http://hdl.handle.net/10203/39907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9648&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IC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