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디메톡시쿠마린의 5-플루오로우라실에의 광고리화부가 반응Photocycloaddition reaction of 5,7-dimethoxycoumarin to 5-fluorouracil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98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심상철-
dc.contributor.advisorShim, Sang-Chul-
dc.contributor.author나춘섭-
dc.contributor.authorRa, Choon-Sup-
dc.date.accessioned2011-12-13T04:53:52Z-
dc.date.available2011-12-13T04:53:52Z-
dc.date.issued1980-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2591&flag=dissertation-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32259-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화학과, 1980.2, [ [iv], 41 p. ]-
dc.description.abstract5-플루오로 우라실(5-FU)의 쿠마린 화합물과의 광반응성은 비교된 피리미딘 염기중에서 가장 큰것으로 나타났다. 소랄렌의 광독성을 분자적 차원에서 구명하고 쿠마린 화합물들의 DNA에의 광부가반응에서의 염기의 선택성을 알기 위하여, DMC의 5-FU에의 광부가반응을 연구하였다. 주생성물을 TLC로 분석하고 대롱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생성물의 구조는 UV, IR, NMR, mass 그리고 원소분석 결과에 의해 DMC와 5-FU의 광고리 생성부가반응에 의한 생성물임을 알았다. 분리된 광부가물에 254nm의 빛을 쪼이면 쉽게 원래 물질인 DMC와 5-FU로 쪼개짐을 UV와 TLC로서 확인했다. DMC는 self-quenching 효과를 볼 수 없으며 TME와 달리 5-FU에 의해서 ?칭되지 않는다. DMC는 삼중상태의 분자밀도가 매우 작고 또 직접 빛을 쪼였을때 이합체화 반응이 주로 단일상태에서 일어나는 점을 볼때 DMC와 5-FU의 광고리 생성부가반응은 단일상태에서 일어날 것으로 추측된다.kor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title5,7-디메톡시쿠마린의 5-플루오로우라실에의 광고리화부가 반응-
dc.title.alternativePhotocycloaddition reaction of 5,7-dimethoxycoumarin to 5-fluorouracil-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62591/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 화학과, -
dc.identifier.uid000781064-
dc.contributor.localauthor심상철-
dc.contributor.localauthorShim, Sang-Chul-
Appears in Collection
CH-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