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활동의 증가와 맞춤형 뉴스로 인한 정치·사회 갈등 심화에 관한 연구(A) study on adaptive-customized news algorithm effect on the intensifying political conflicts under context of increasing untact-society caused by COVID-19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0
  • Download : 0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활동이 증가하고 알고리즘 기반의 개인 맞춤형 뉴스로 인해 정치·사회 갈등이 심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발발 이후 대면 만남의 감소와 맞춤형 뉴스 소비의 증가가 개인의 정치적 견해의 편향성을 증가시키는 데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정치적 견해의 편향성 증가가 정치·사회 갈등 심화로 이어질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코로나 이후 개인의 정치적 견해를 형성하는 데 있어 온라인 뉴스 이용 행태의 변화와 맞춤형 뉴스 이용의 경험에 대한 자기인식과 갈등 경험을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하고자 했다. 설문 결과, 코로나 발발 이후 코로나 이전보다 대면 교류가 감소하였고 맞춤형 뉴스 제공으로 인해 자신도 모르게 견해와 인식의 편향성이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인은 온라인 뉴스를 통해 객관적이고 균형 있게 정보를 제공받고 있다고 생각함과 동시에 맞춤형 뉴스로 인해 정치적 갈등이 심화될 것을 우려하고 있었다. 앞으로 코로나로 인해 대면 만남이 감소하고 비대면 활동이 증가하며, 사용하기 편하다고 느끼는 맞춤형 뉴스의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개인의 정치적 편향성이 증가하고, 더 나아가 정치·사회 갈등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정치·사회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해법이 모색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Advisors
이상윤researcherYi, Sangyoonresearcher이광형researcherLee, Kwang Hyung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22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2022.2,[iii, 36 p. :]

URI
http://hdl.handle.net/10203/308359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997264&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FS-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