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체 근대성(liquid modernity)’시대의 생산성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 모빌리티 산업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roductivity criteria in the age of ‘liquid modernity’ : focusing on mobility industry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74
  • Download : 0
모빌리티 산업은 대변혁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구동 방식은 내연기관에서 전기 또는 수소전기를 활용한 전동화로 변화하고 있으며, 조작 방식 또한 운전자 직접 주행에서 시스템 자율주행으로 진화하고 있다. 모빌리티를 활용한 이동의 범위에도 제한이 없다. 지금까지 모빌리티는 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만을 의미했다. 머지않은 미래에 하늘에서는 UAM(Urban Air Mobility), 지상에서는 자율주행 자동차, 자동차에서 하차 후 남은 목적지까지는 라스트 마일 모빌리티를 이용하게 될 것이다. 비로소 인류가 이동의 자유를 얻을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이다. 인류가 이동의 자유를 얻게 되면 이동이라는 본연의 기능을 담당하는 하드웨어보다 이동 공간에서 누릴 수 있는 콘텐츠를 결정짓는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이다. 전통적으로 제조업 중심의 산업으로 여겨지던 자동차 산업이 IT 업계와 같은 소프트웨어 중심의 산업으로 재편되는 모습을 상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비자가 본인의 고유 경험이나 가치 추구를 바탕으로 탈 물질화 된 소비를 하는 ‘액체 근대성’ 시대에서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제조 생산성 기준을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좋을지 예측해보고자 한다. 기존의 자동차 제조 산업에서 단위 요소 투입 대비 생산량으로 산정하던 생산성이라는 개념이 ‘액체 근대성’ 시대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기준이 될 수 있는지 ‘목표 탐색형 미래 예측법’을 통해 분석해보고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생산성에 대한 새로운 기준 설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Advisors
서용석researcherSeo, Yongseok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22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2022.2,[ⅲ, 24 p. :]

URI
http://hdl.handle.net/10203/308351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997266&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FS-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