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연차 대비 전기차의 상대적 가치가 개인의 전기차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성 연구: 개인 혁신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An Empirical Study of Driver’s Switching Intention toward E-vehicle from the Comparative Value Approach: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37
  • Download : 0
모빌리티 산업에서는 최근 환경오염, 에너지 효율 등에 대한 관심으로 내연차에서 전기차로 산업 전환이 가속화되고있다. 현재 한국은 전환 초기 단계로 다수의 내연기관 차량 운전자들의 전기차 전환 및 확산에 어려움이 있다. 파괴적혁신 성향을 띄는 전기차의 확산은 낮은 혁신성을 보이며 실제적 가치를 중요하게 고려하는 조기다수자(early majority)의 전기차 전환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가치기반 수용모델을 기반으로 연구모델을 설계하는 한편, 한국인 운전자 194명을 대상으로 개인 혁신성 수준이 전기차의 상대적 가치 요인과 전환 사이에서 어떠한 조절효과를 주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능, 품질 등 전기차의 비교우위와 유지비용 등 상대적인 금전 가치가 전기차로의 지각된 전환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전기차 기능학습 등 절차상 전환비용은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개인 혁신성이 낮은 그룹은 전기차의 실제적인 비교우위를 크게 느낄 때 전환가치가 높아졌다. 학술적으로 본 연구는 상대적 가치 및 개인 혁신성에 따른 조절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모형을 제안했다. 또한 실무적으로 정부 및 기업의 전기차 확산촉진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했다.
Publisher
한국기술혁신학회
Issue Date
2022-12
Language
Korean
Citation

기술혁신학회지, v.25, no.6, pp.1249 - 1271

ISSN
1598-2912
URI
http://hdl.handle.net/10203/307138
Appears in Collection
MG-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